[오늘 본 옛 그림] (44) 둥근 달은 다정하던가

Է:2010-11-08 17:41
ϱ
ũ
[오늘 본 옛 그림] (44) 둥근 달은 다정하던가

어스름 새벽 동쪽 하늘에 그믐달이 떴다. 머리 푼 은자가 나무에 기대 무연히 펼쳐진 하늘을 본다. 그는 긴 소맷자락 사이로 손을 들어 달을 가리킨다. 냇물은 갈래지어 흐르고 나뭇잎은 휘청거린다. 새벽을 기다려 밤을 지새운 은자가 나직이 읊조린다. 달아, 산이 높아 더디 떴느냐….

달을 노래한 시는 열 수레에 실어도 남는다. 차고 이지러지는 이치를 달인들 알랴마는 제 심정에 겨운 시인은 그 까닭을 거듭 묻는다. 조선의 문장가 송익필은 서른 날 중 딱 하루 둥근 달이 야속했다. ‘둥글지 않을 때는 늦게 둥근다고 탓했더니/ 둥글고 난 뒤에는 어이 그리 일찍 저무는가.’ 중기의 문신 권벽은 보름달 기다려 꽃 보기를 욕심내다가 한숨짓는다. ‘꽃 활짝 필 때는 둥글지 않더니/ 달 밝고 나니 꽃은 이미 져버렸네.’

보름달은 노상 반갑고 초승달과 그믐달은 숫제 슬픈가. 당나라 이상은은 아니란다. 그는 야멸치게 말한다. ‘초승달 이울었다고 쓸쓸해하지만/ 둥근 달이라고 언제 유정하기나 했던가.’ 이런즉 달은 기울어서 애달픈 것도, 가득해서 미더운 것도 아니다. 뜨고 지는 달은 그저 시간의 조화이려니, 저 탐미적인 시인 장약허는 일찌감치 알아차렸다.

‘강가에서 누가 처음 달을 보았고/ 강가의 달은 누구를 처음 비추었는가/ 인생은 대대로 끝이 없는데/ 강가의 달은 해마다 닮았구나/ 저 달이 누구를 기다리는지 몰라도/ 다만 흘러가는 강을 바라다보네.’ 달은 뜨고 져도 물은 흐르고 흐른다. 달은 그림 속에 갇히고 물은 그림 밖으로 나간다. 조선 왕실의 화가 이정이 그렸다. 붓질이 헐거워 그림이 욕심 없다.

손철주(미술칼럼니스트)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