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찰 덮을 땐 훗날 부메랑… 털고 가야” 기류 꿈틀
청와대 행정관의 ‘대포폰’ 문제가 불거지면서 민간인 사찰 문제를 바라보는 한나라당 내 기류에도 미묘한 변화가 감지된다. 새로운 사실이 드러나고 야당의 총공세가 시작되면서 여당 내부에서도 민간인 사찰 문제를 이대로 덮고 갈 수 없다는 분위기가 일고 있다.
4일 최고위원회의에서 검찰 재수사를 공개 촉구한 홍준표 최고위원은 “이명박 정부가 권력 비리로 망하지 않으려면 이런 사건은 재수사해 확실히 응징해야 다른 권력 비리를 예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여기에 서병수 최고위원과 민간인 사찰의 피해 당사자인 정두언 최고위원도 가세하고 있다.
소장파 의원들 사이에서도 ‘불법적인 대포폰이 동원됐다’는 문제 제기 이후 민간인 사찰 문제를 매듭짓고 가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주광덕 의원은 “정부 고위 기관에서 대포폰을 사용했다는 것 자체가 국가적으로 부끄러운 일”이라며 “21세기에 국격이 높아지는 마당에 절대 있어서는 안 되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특히 검찰 수사 과정에서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이 여당 권택기 의원 등을 통해 사태를 무마하려 했던 정황이 담긴 문건까지 등장하면서 이런 기류에 힘이 실리는 모양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초선 의원은 “너무 명백하게 드러난 사실을 계속 덮어두고 갈 수는 없다”며 “시비곡직을 따져 반드시 털고 넘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런 기류 뒤에는 이 문제를 이번에 깨끗하게 풀지 않으면 차기 총선이나 대선 때 부메랑이 되어 날아올 수 있다는 우려가 깔려있다. 이명박 정부에 ‘빅 브라더’의 이미지가 덧씌워지면서 30, 40대 유권자들이 등을 돌릴 수 있다는 위기감이다.
하지만 여당 주류는 신중한 입장이다. 안형환 대변인은 “검찰 수사가 진행 중인 만큼 좀 더 지켜봐야 한다”며 “재수사 여부도 검찰이 판단할 문제”라고 말했다. 홍 최고위원의 발언을 비판하는 소리도 있다. 한 중진 의원은 “사실 관계가 확실히 밝혀지지 않은 상황에서 여당 지도부가 나서서 검찰 수사에 대해 이러쿵저러쿵 말하는 것이 옳은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특히 청와대가 대포폰이 아니라 ‘차명폰’이라는 설명을 내놓았고 자체 조사 중인 상황에서 당이 나서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주장도 나온다. 친이계 강승규 의원은 “차명폰이라는 설명까지 다 나왔는데, 무엇이 문제라는 것인지 뭘 재수사하라는 것인지 납득이 안 간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겉으로는 “검찰 조사를 지켜보겠다”며 공식 대응을 자제하고 있지만 내부적으로는 정치 공세에 불만이 가득한 표정이다.
검찰은 이번 사안은 충분한 수사가 이뤄진 것으로, 제기된 의혹에 문제되는 부분은 없다고 밝혔다. 서울중앙지검 신경식 1차장 검사는 “차명전화는 검찰이 자발적으로 인지수사를 거쳐 밝혀냈고, 재판을 위해 이미 자료도 제출했던 것”이라며 “수사하지 않은 게 새롭게 밝혀진 것이 아니다”고 말했다.
김나래 유성열 기자 narae@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