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동북아 안정에 역행하는 중국
중국 정부가 중국의 6·25 참전에 대해 ‘평화를 지키고 침략에 맞서기 위한 정의로운 전쟁’이라고 규정하면서 ‘이는 중국 정부의 정론(定論)’이라고 못박고 나섰다. 지난 25일 시진핑(習近平) 국가부주석이 6·25 참전을 ‘항미원조전쟁(抗美援朝戰爭)’이라고 발언한 것에 대해 한·미 양국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쏟아지고 있는 가운데 중국 외교부 대변인이 이를 다시 확인한 것이다.
27일자 본란에서 ‘시 부주석의 발언은 한국 역사를 왜곡하고 유엔의 평화 노력을 폄훼하는 망언’이라고 지적한 바 있거니와 중국이 이를 거듭 ‘중국 정부의 정해진 정론’이라고 주장한다면 이는 패권을 꿈꾸는 시대착오적 발언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 한국전쟁이 북한의 남침으로 시작됐다는 것은 호도될 수 없는 역사적 사실이다. 중국이 한국전쟁에서 자국의 참전을 어떻게 규정할 것인지는 북·중 관계가 우선이 아니라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으로서의 폭넓은 시각으로 접근해야 마땅하다.
중국이 부상하면서 아시아에 중국견제 공동전선 이 형성되는 것은 중국의 패권주의적 행보 때문이다. 중국이 최근 북한의 3대 세습 과정에서 보여준 모습도 전근대적 끼리끼리의 행태일 뿐 21세기 지구촌의 보편적 가치라고 봐 줄 수 없다.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이 지난 27일부터 13일간의 일정으로 아시아 7개국을 순방하는 것이나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다음달 6일부터 14일까지 아시아 4개국을 순방하는 것도 중국을 견제하고 대중(對中) 연합전선을 구축하려는 의도가 다분해 보인다. 중국과 미국의 이런 긴장관계는 동북아 국가들에 엄청난 부담이다.
21세기 들어 지구촌에 새로운 글로벌 동맹 관계가 활발하게 형성되고 있다. 그러나 동북아시아에는 동중국해 갈등, 북한 핵 문제, 천안함 공격에 대한 중국의 북한 감싸기, 일본의 역사왜곡 등 온통 긴장과 갈등이 확산되고 있다. 중국은 적극적으로 동북아 안정에 기여해야 한다.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중시하지 않는 중화 굴기는 서로에게 시련을 가져올 뿐이다.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