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안보리, ‘천안함’ 비공식논의 시작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천안함 사건과 관련해 7일(현지시간) 비공식 논의를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안보리 의장인 클로드 헬러 멕시코 유엔대표부 대사는 박인국 한국 대사, 미국·중국·터키·프랑스·일본 등 이사국 대사들과 개별 면담을 가졌다고 외신들이 보도했다. 안보리 의장은 8일까지 나머지 이사국 대사들도 만나 안보리 대응 방향에 대한 의견을 나눈 뒤 향후 계획을 정할 예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은 유엔으로부터 강력한 성명이 나오기를 바란다는 입장을 밝혔다. 필립 크롤리 국무부 공보담당 차관보는 정례브리핑에서 “이런 종류의 도발이나 역내 안보를 위협하는 행위들이 용납될 수 없다는 점을 북한이 분명히 알 수 있도록 유엔의 강력한 성명이 적절한 시기에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는 미국이 강력한 의장성명을 염두에 두는 듯하다는 분석을 낳고 있다.
크롤리 차관보는 이어 대북 대응책에 대한 질문에 “한국 및 다른 나라들과 광범위한 대북 옵션들을 검토 중”이라면서 “추가적인 (군사) 연습이나 다른 훈련 프로그램들에 대한 일련의 옵션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페루를 방문 중인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도 핵개발을 하고 있는 이란과 북한의 행동이 세계 공동체의 평화와 안정을 위협하고 있다는 사실을 그들에게 이해시켜야 한다고 강조, 북한과 이란을 압박했다.
한편 안보리의 대북 제재결의 1874호에 따라 지난해 창설된 7개국 전문가회의의 활동 시한이 1년 연장됐다. 유엔 관계자는 “이 활동은 북한 핵개발에 대한 제재결의가 살아 있는 한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워싱턴=김명호 특파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