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카페] 배송업 발목잡는 국회
“신서독점권이 뭐기에.”
국내 한 민간경제연구소는 최근 회원들에게 양해를 구하는 안내문을 발송했다. 그동안 배송업체를 통해 보내왔던 정기간행물 배달이 ‘우편법(신서독점권)’에 위반된다는 경고를 우체국으로부터 받아 앞으로 직배를 할 수 없게 됐고, 이 때문에 간행물 배송이 종전보다 1∼2일 정도 늦어질 수 있다는 내용이었다.
앞서 지난해 초 부산 금정구는 한 노인단체와 공동으로 ‘실버우체부’ 사업에 대한 협약을 체결했다가 흐지부지되고 말았다. 65세 이상의 노인들을 고용해 재산세와 주민세 등 지방세 고지서를 직접 가가호호에 배달하는 ‘노인 일자리창출사업’의 일환이었는데 ‘신서독점권’이 발목을 잡은 것이다.
현행 우편법에 명시된 ‘신서독점권’은 편지를 비롯한 일반 우편물(소포 제외)은 국가가 운영하는 관인 우체국만 취급할 수 있도록 한 권한이다. 하지만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 체결되면서 신서독점권을 포함한 우편법 개정안이 현재 국회에 계류돼 있는 상황이다.
개정안의 골자는 정기간행물, 서적, 상품 카탈로그 등은 우편물에서 제외토록 한 것. 즉 진입규제를 풀어 시장 경쟁체제로 전환하겠다는 취지인데 국회가 발목을 잡고 있는 셈이다. 신용카드 배송업무는 지난해 말 정부의 ‘규제 철폐’ 조치를 통해 민간업체에 배송이 허용된 것과 대조적이다.
불합리한 법 때문에 일반 기업과 소비자들이 불편을 겪고 있지만 우편업무를 총괄하는 우정사업본부도 난처하기는 마찬가지다. 우정사업본부 관계자는 “법이 개정되기 전까지는 현행법을 지켜야 한다”고 말했다. 누구를 위한 법인지, 정부와 국회에 묻고 싶다.
박재찬 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