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경제 과잉불안심리 경계해야
남유럽 국가 재정위기가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을 키우는 가운데 천안함 침몰이 북한 소행이라는 조사결과가 발표되면서 우리 경제에 대한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다. 국내 경제의 규모나 기반으로 볼 때 웬만한 충격은 견딜 수 있다는 견해가 지배적이지만 사태의 진전에 따라서는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한국 경제의 발목을 잡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정부가 어제 경제금융대책반 가동에 들어갔지만 이럴 때일수록 정부나 국민이나 진중한 자세가 필요하다. 현상을 정확히 파악하고 진단하되 지나치게 확대해석하거나 부화뇌동하는 것은 개인과 국가의 손실만 키울 뿐이다.
천안함 조사결과가 발표된 지난 20일 국내 금융시장은 크게 요동쳤다. 원·달러 환율은 1194.10원으로 작년 10월 이후 최고를 기록했고 코스피지수는 29.90포인트 하락하며 1600선마저 흔들렸다. 하지만 이날 미국 등 세계 증시도 약세를 보였던 만큼 천안함보다는 남유럽 영향이 더 컸던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천안함은 그간 조사단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이야기로 북한 소행임이 이미 인식돼 있었기 때문에 영향이 제한적이었다는 분석이다.
물론 이로 인해 향후 한반도에 군사적 긴장이 고조될 경우 지정학적 안보리스크에 따른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심화되면서 불안심리가 확산될 수 있다. 그러나 과거 사례를 보면 이 같은 일시적 요인에 의한 영향은 길게 가지 않을 뿐 아니라 쉽게 회복되곤 했다. 남북 간에 그야말로 전면전이 벌어지지 않는 이상 안보위기의 영향은 통상 심리적 요인에 의한 것이기 십상이다.
어쨌든 현재 시장에 불안감이 상존하고 있는 만큼 대책반은 불안을 최소화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 특히 외국인 투자자들이 천안함 사태를 지정학적 리스크로 확대해석하지 않도록 충분히 설명하고 신용평가사들이 이를 빌미로 한국의 신용등급을 떨어트리지 않도록 선제적 조치를 취해야 한다. 또한 정부 당국자들은 남북 간 군사적 긴장감을 높일 수 있는 언행에 신중을 기하고 일부 보수단체의 과격한 응징 주장도 자제되는 것이 좋다.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