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함성… 아직도 광주서만 메아리
5·18민주화운동이 발생한 지 어느새 30년이 흘렀다. 하지만 신군부의 폭압에 분연히 떨치고 일어나 민주화를 외치던 그날의 함성은 아직 광주에만 메아리치고 있다.
사망 163명, 행방불명 166명, 부상 3139명(공식집계). 5·18은 그동안 국회 청문회, 전두환 노태우 두 전직 대통령에 대한 검찰수사, 5·18특별법 제정 등을 거쳐 국가기념일로 지정됐다. 5월 영령이 잠든 망월동 묘지는 보훈처가 관리하는 국립묘지로 승격됐다. 핵심적인 최초 발포명령자와 암매장 장소 등은 아직 드러나지 않았지만 유혈 과잉진압의 실상에 대해서는 일정부분 진상규명이 이뤄졌다.
그러나 5월 유족들과 광주시민이 바라는 5·18의 전국화는 요원하다. 국가기념일 지정에도 5·18 기념식조차 치르지 않는 지자체가 많다. 5·18재단과 5·18행사위에 따르면 올해 전남지역 22개 지자체 가운데 5·18기념행사를 개최하는 곳은 순천과 목포 해남 강진 등 7곳에 불과하다.
서울과 경기, 부산, 대구, 강원, 전북 등 상당수 광역단체는 호남출신 인사 등으로 기념사업회나 행사위원회를 꾸려 해마다 기념·추모 행사를 갖고 있지만 여전히 ‘일부의 잔치’에 머물고 있다. 서울시는 최근 서울광장 추모행사 집회허가기간을 번복해 기념사업회의 불만을 사고 있다.
5·18정신 계승을 위한 교육사업도 지지부진하다. 광주시교육청이 인증한 ‘5·18교과서’는 지난해 1월 처음 발간돼 올해 광주지역 초·중·고교에 보급되고 있지만 국정교과서인 고교 국사교과서에 기술된 5·18 관련 내용은 단 두 문장에 불과하다.
이달 초 5·18수업을 계획한 경기도 모 중학교 교사는 학교 측에 ‘5·18교과서’ 신청을 위한 공문 발송을 요청했지만 해당학교 교장이 ‘시기상조’라며 승인하지 않았다. 5·18재단 관계자는 “교과서 발간 이후 5·18수업을 진행하려는 교사들의 문의가 전국에서 빗발치고 있지만 성사된 곳은 한 곳도 없다”고 말했다.
5·18 행사위 류봉식 사무처장은 “5·18이 국가적인 기념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정부의 의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