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축 시장 ‘무상지분율’ 논란 가열
재건축 아파트 시장에 ‘무상지분율(공짜지분율)’이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무상지분율은 재건축 조합원이 추가분담금 없이 입주할 수 있는 가구당 면적 비율을 말한다. 최근 서울 강남을 중심으로 한 재건축 아파트 조합원들의 시공사 선정 잣대는 아파트 브랜드와 시공 능력보다 무상지분율로 무게중심이 옮겨지고 있다. 높은 무상지분율로 수익성이 좋아질 것으로 기대되면서 고덕주공, 둔촌주공, 개포주공 등 강남권 5층짜리 재건축 추진 아파트 가격도 반등세를 보이고 있다.
◇‘무상지분율’ 논란 불 지핀 고덕주공 6단지=고덕주공 6단지 재건축조합은 지난 15일 서울 천호동 강동구민회관 별관에서 총회를 열고 두산건설을 재건축 시공사로 최종 선정했다. 두산건설은 조합원 무상지분율을 174%로 제시하면서 대우건설(162%)과 현대건설·포스코건설 컨소시엄(151%)을 따돌렸다. 두산건설 관계자는 16일 “조합원들이 아파트의 브랜드나 인지도보다는 실제로 가장 많은 이익을 가져다주는 시공사를 선택한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무상지분율이 터무니없이 높다”면서 ‘헐값 공사’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조합원들에게 공짜로 나눠주는 지분이 많다 보니 건설업체가 수지타산을 맞추기 위해 아파트 공사비를 대폭 낮출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일부 업체들은 두산건설이 제시한 조합원 무상지분율(174%)을 적용할 경우 추정되는 일반분양가는 3.3㎡당 4856만원 선, 공사비는 3.3㎡당 57만~58만원 정도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두산건설 측은 “경쟁 업체들이 퍼뜨리는 흑색 비방선전에 불과하다”면서 “실제 공사비는 3.3㎡당 350만~370만원 선으로 일반 업체 수준과 비슷하게 적용될 것”이라고 반박했다.
◇인근 재건축단지 ‘불똥’ 튈듯=고덕주공 6단지의 재건축 시공사 선정에 촉각이 곤두선 곳은 인근 고덕주공 2단지 조합원들이다. 이달 초 시공사 선정을 위한 총회를 개최했다가 ‘무상지분율’ 문제로 무산됐기 때문이다.
시공사로 참여한 GS건설·삼성물산 측은 입찰제안서에서 최대 143%의 무상지분율을 제시했지만 일부 조합원들이 고덕주공 6단지 수준으로 올려줄 것을 요구하면서 총회 개최를 막은 것. 2단지 조합 측은 조만간 시공사 선정 방법을 당초 컨소시엄 참여에서 건설사 단독입찰로 변경, 시공사 재선정 작업에 들어갈 예정이지만 조합원 간 이견으로 난항을 겪고 있다. 고덕주공 7단지도 17일 시공사 선정을 위한 현장설명회를 거쳐 다음달 7일 시공사를 선정할 예정이다.
이들 단지에서도 무상지분율 경쟁이 불거질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국내 주택시장 침체로 ‘알짜’ 재건축 시장에 대한 치열한 경쟁이 이어지는 가운데 그동안 재건축 시장에 미온적이었던 중견사들이 대거 뛰어들 태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 한 중견건설사 임원은 “그동안 강남 재건축 시장은 속칭 ‘빅5’가 주도해 왔다”면서 “중견사들이 재건축 시장에 뛰어들 경우 내세울 수 있는 건 가격경쟁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무상지분율 호재로 5층짜리 저층 재건축아파트 단지는 반등세다. 고덕주공 6단지 60㎡는 지난달 초 5억3000만~5억4000만원이었으나 현재 5000만~6000만원 오른 5억8000만~6억원을 호가하고 있다. 둔촌주공 53㎡도 지난달 6억원까지 떨어졌다가 최근 6억1000만~6억2000만원에 호가가 형성돼 있다.
하지만 무상지분율을 둘러싼 건설사들의 가격경쟁은 일반분양가 상승으로 이어져 결국 소비자 피해로 돌아올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김선덕 건설산업전략연구소장은 “재건축 조합원의 무상지분율이 높아질 경우 조합원들은 어느 정도 혜택을 볼 수 있다”면서 “하지만 건설사들은 이에 따른 손실분을 결국 일반분양분 가격을 올려서 만회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재찬 기자 jeep@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