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취업자 40만명 쑥… 실업률 3%대로 뚝

Է:2010-05-12 18:59
ϱ
ũ
4월 취업자 40만명 쑥… 실업률 3%대로 뚝

고용시장에도 봄이 찾아왔다. 지난달 취업자 수가 4년 8개월 만에 최대 폭으로 늘고, 5%까지 치솟던 실업률은 3%대로 내려앉았다. 수치만 놓고 보면 위기 이전 수준에 가깝다. 다만 1년 전 상황이 워낙 좋지 않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지금이 나아보이는 ‘기저효과(Base Effect)’라는 분석도 있다.

◇신규취업자 40만1000명 증가=통계청은 4월 취업자 수가 2392만4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40만1000명이 증가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는 2005년 8월 46만5000명 이후 최대 증가폭이다.

은순현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수출·투자가 호조를 보이고 정부 일자리 사업이 본격화된 데다 기저효과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경기침체의 골이 깊었던 지난해 4월 취업자 수가 전년 같은 달보다 18만7000명이나 주저앉은 것을 감안하면 올해 수치가 유난히 더 커 보일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그렇다 해도 경제활동인구에서 취업자와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인 고용률과 실업률은 각각 59.1%, 3.8%로 회복세를 보였다.

15∼29세 연령대의 청년 실업률은 8.6%로 전달보다 0.4% 포인트 떨어졌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임종룡 기획재정부 1차관도 “청년취업이 여전히 어렵다는 데 동의한다”며 “단기대책의 상당 부분을 청년실업 대책에 할애하고 있어 앞으로 개선 여파가 확산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고용 훈풍’ 지속 여부가 관건=고용지표는 대표적인 경기후행지표다. 실물경기 흐름과 6개월 정도 시차를 두고 지표에 반영된다는 뜻이다. 결국 지난해 하반기 이후 본격화된 경기회복력이 둔화된 것처럼 고용시장의 회복세에도 브레이크가 걸릴 수 있다는 얘기다.

정부의 근심도 바로 여기에 있다. 때문에 지난달 고용지표의 가파른 호전에도 출구전략 본격화 시점을 저울질하며 확장적 거시정책 기조를 유지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임 차관은 “정부로선 당분간 현재 거시정책 기조를 그대로 유지하겠다는 입장”이라며 “고용도 중요한 변수지만 (출구전략은) 국내외 경제여건, 생산부문, 기타 여러 변수를 감안해 종합적으로 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오는 6월말 종료되는 희망근로사업 연장에 대해 현재로선 부정적이다. 정부 주도에서 민간으로 옮겨 붙은 고용시장 훈풍이 당분간 지속될 것임을 낙관하고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정부. 2018년 고용률 60.2% 예상=정부는 이날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국가고용전략회의를 갖고 ‘2008∼2018년 중장기 인력수급전망 및 정책과제’에 대해 논의했다.

노동부, 재정부 등 정부부처와 한국은행, 산업연구원 등은 공동전망을 통해 국내 취업자 수가 연평균 20만8000명씩 늘어 2018년에는 2565만9000명으로 고용률이 60.2%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2008년 말 기준 취업자수는 2357만7000명, 고용률은 59.5%다.

노동부 관계자는 “2018년 취업자의 72.5%가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반면 농림어업 및 제조업 취업자 비중은 각각 4.8%, 14.7%로 감소해 선진국처럼 서비스업 중심의 고용구조가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정부는 이 같은 인력수급전망을 토대로 대학의 구조조정을 유도하고, 직종 간 일자리 중개기능을 강화하는 등 중장기 고용대책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정동권 기자 danchu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