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금융시장 24시간 감시”… “국내 영향은 제한적” 과도한 시장반응 제동
정부가 금융시장 불안감 확산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그리스 재정위기로 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는 것은 불가피하지만 최근 국내시장의 반응은 지나쳤다는 판단에서다. 정부와 금융당국은 24시간 감시체제를 구축해 실시간 시장점검에 나서는 한편 주요 20개국(G20) 재무차관과 콘퍼런스콜(전화회의)도 갖기로 했다.
기획재정부는 9일 서울 명동 은행연합회관에서 금융위원회, 한국은행, 금융감독원과 경제금융상황점검회의를 통해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당초 금융당국의 시장점검회의로 예정됐던 이날 회의는 전날 저녁 차관급 회의로 격상돼 임종룡 재정부 1차관, 권혁세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김용환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 장병화 한국은행 부총재보 등이 참석했다.
임 차관은 “지난주 후반부터 국내 금융시장의 여파가 커지면서 그동안 파악한 상황인식을 나눠보자는 차원에서 가진 회의”라며 “시장에서 우려하는 국가와 우리 경제의 연계성을 감안할 때 과도하게 반응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정부와 금융당국은 금융위기를 촉발할 미국발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사태와 이번 그리스발 재정위기의 차이점을 근거로 들었다. 우선 서브프라임 사태가 부실의 규모도 파악하기 힘들 정도로 ‘거래 상대방의 위험’이 산재돼 있었던 반면에 이번 그리스 재정위기는 문제의 원인에 대한 인식이 이뤄져 있다는 것이다. 또 G20 국제공조체제가 굳건한 것도 당시와 큰 차이라는 설명이다. 임차관은 “G20 차원의 국제 공조를 주도하는 차원에서 윤증현 재정부 장관 지시로 9일(한국시간 10일 오전) G20 재무차관 콘퍼런스콜을 개최해 그리스 상황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임 차관은 “국제 금융시장이 어떻게 변할지 불확실성이 큰 만큼 국내외 금융시장 상황과 국내 경제 영향에 대한 면밀한 점검을 위해 당분간 강화된 모니터링 체계를 가동할 것”이라며 “재정부와 국제금융센터가 24시간 모니터링 체제를 구축하고 금융위와 금감원은 비상금융통합상황실을 통한 점검을 강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외국인투자자와 국내투자자의 불안감이 증폭될 경우 금융시장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외국인자금 유출입 동향이나 펀드 환매 동향은 매일 점검하기로 했다. 국내은행의 외화차입과 만기도래 등을 매일 점검하기 위한 외환 핫라인도 재가동하기로 했다.
정동권 기자 danchu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