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先 천안함-後 6자회담”… 한국과 공조 재확인
미국이 ‘선(先) 천안함 원인규명, 후(後) 6자회담 재개’라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이는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중국 방문 이후 대북정책에 대해 한·미 간 이견이 있다는 분석들을 불식시키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필립 크롤리 국무부 공보담당차관보는 5일(현지시간) 정례브리핑에서 “천안함 침몰에 대한 조사가 마무리되고 난 뒤 그게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결론 내리겠다는 입장은 분명하다”고 강조했다. 크롤리 차관보는 ‘천안함 조사와 6자회담 재개를 투트랙으로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변하면서 “조사 결과를 지켜보는 게 우선이며, 우리는 한국의 조사를 전폭적으로 지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전날(4일)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의 6자회담 조속 복귀를 촉구한 바 있다. 김 위원장 방중으로 6자회담 재개가 핫이슈로 떠오르는 상황에서 그의 회담 복귀 촉구 발언은 미묘한 해석을 낳았다. 미국이 그동안 누차 강조해왔던 ‘침몰 원인 규명 우선, 그 이후 6자회담 재개 판단’이라는 원칙과는 다른 뉘앙스로 받아들여질 소지가 있었다. 미국이 지루하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는 천안함 문제와 6자회담 문제를 분리해, 회담 조기 재개 쪽으로 방향을 튼 게 아니냐는 분석들이 나오기 시작했다. 천안함 침몰 원인도 밝혀지지 않은 상황에서 한·미 공조에 이상이 생겼다는 시각이 확산될 조짐을 보이자 미 국무부가 서둘러 공식 입장을 재확인한 것이다.
워싱턴 외교소식통은 “4일과 5일의 크롤리 차관보 발언은 사실 미 국무부가 천안함 사건 이후 내내 강조해오던 똑같은 말이다”며 “다만 김 위원장 방중과 맞물리면서 미묘한 뉘앙스의 차이가 생긴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현 시점에서 미국은 천안함 침몰에 대한 최종결론이 나지 않은 상태에서 6자회담을 재개한다든지 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아시아담당 보좌관을 지낸 빅터 차 조지타운대 교수도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홈페이지에 올린 글을 통해 “비핵화가 중요 목표지만 천안함 사건으로 평상시와 같은 외교행위가 전개되기는 힘들 것”이라며 미국의 입장만으로 6자회담 재개는 어렵다는 주장을 폈다.
앞서 6자회담 미국 측 수석대표인 성 김 북핵특사도 4일 워싱턴DC에서 비공개로 가진 ‘서울-워싱턴 포럼’ 만찬에서 천안함 사건과 6자회담 대응 방안에 대해 “한국 입장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겠다”고 말했다고 참석자들이 전했다.
크롤리 차관보는 또 미국은 김 위원장과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의 정상회담에 대해서도 이미 중국에 입장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지난달 29일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과 다이빙궈 국무위원 간 전화통화에서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6자회담 문제를 논의한 이 통화에서 클린턴 장관은 천안함 사건이 터졌는데 아무 일 없었다는 식으로 지나갈 수는 없으며, 중국도 위상에 맞는 역할을 해야 한다는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워싱턴=김명호 특파원 mh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