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취업자수 29년전 수준 후퇴… 외환위기 직후보다 적어
20대 취업자 수가 29년 전 수준으로 떨어졌다. 저출산으로 젊은층 인구가 줄어든 데다 최근 청년층 취업난까지 겹친 탓이다.
26일 통계청에 따르면 20대(20∼29세) 취업자 수는 올해 1분기에 370만명을 기록했다. 1981년 4분기의 349만5000명 이후 최저치다. 외환위기 직후의 어렵던 시절에도 20대 취업자 수는 98년 440만명, 99년 434만명 등 400만명대를 유지했다.
20대 취업자 수는 80년대 이후 증가세를 보이며 95년 3분기에는 505만7000명까지 늘어나 정점을 기록한 이후 감소세로 돌아서 2007년 3분기부터 400만명 밑으로 떨어졌다.
우선 20대 취업자 수 감소는 저출산과 관련 있다. 20대 인구는 81년 632만명에서 계속 늘어나 95년에는 791만명으로 800만명에 육박한 뒤 감소세로 돌아서 올해 1분기에는 642만5000명으로 줄었다. 20대 인구가 80년대 초반 수준으로 돌아간 것이다.
여기에다 청년층 취업난도 영향을 미쳤다. 20대의 고용률(해당 연령층의 취업자 비중)은 올해 1분기에 57.6%로, 지난해 1분기(57.1%)를 제외하면 1999년 2분기(57.1%)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20대 실업률도 올해 1분기에 9.1%를 기록, 2000년 1분기의 9.4% 이후 10년 만에 가장 높았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