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방송 겸영 성공하려면… 통합뉴스룸 필수 단순히 옮겨 전달해선 안돼
방송학회 ‘경쟁력·공익성 확보 방안’ 세미나
신문이 신규 보도전문채널에 진출하는 이른바 신방 겸영에 안착하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들이 필요할까.
김경환(상지대) 문성철(한양대) 교수는 ‘보도전문채널의 콘텐츠 구성과 편성 방안’ 논문 발제를 통해 “매체 간 통합 마케팅, 통합 제작 등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기 위한 시도가 활발하게 벌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두 교수는 “이런 통합 전략을 수행할 수 있는 미디어 기업은 경쟁사와 비교해 유리한 입지를 점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특히 예상되는 변화와 대응책의 핵심은 통합뉴스룸 구축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들은 통합 플랫폼 체제 구축 시 필요한 전략은 유연하면서도 세분화된 조직체계라면서 매체 간 조직 융합의 정도에 따라 그 효과는 달라진다고 말했다. 즉, 융합 수준이 높을수록 위험 분산 효과는 작지만 비용 절감 효과는 커진다고 한다. 반면 융합 수준이 낮으면 집중 위험 분산과 창구효과(한 매체의 성공을 다른 매체로 빠르게 전이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상대적으로 비용 절감 효과는 낮아지게 되므로 신문사 내부 조직을 충분히 검토해 적절한 방안을 찾을 것을 권고했다.
특히 신문사 계열의 사업자가 보도채널에 진입할 경우 자체 제작이나 기존 언론사의 취재 시스템을 최대한 활용해 뉴스를 생산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텍스트 기반의 뉴스와 달리 방송뉴스 제작에는 취재 촬영 편집의 과정이 따른다는 점에서 이 과정을 모두 담당할 수 있는 취재 인력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다만 시청자들의 미디어 이용 패턴이 다수의 플랫폼을 옮겨가며 원하는 콘텐츠를 장소와 시간 불문하고 이용하는 방식으로 변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단순히 신문의 콘텐츠를 방송으로 옮겨 전달하는 방식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인쇄 매체에서 생산된 콘텐츠를 영상으로 제작해 방송하는 것은 뉴스 제작 형태의 변화에 불과할 뿐 신문 기사가 방송 뉴스로 제작됐다고 해서 곧 시청자들의 욕구가 충족되는 것은 아니라는 설명이다.
이동훈 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