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가축질병 관리시스템 미덥지 않다

Է:2010-04-11 20:49
ϱ
ũ

인천 강화군에서 발생한 구제역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강화군 선원면에서 지난 8일 접수된 구제역 의심신고가 확진판정을 받은 데 이어 지금까지 이곳을 포함 한우 농가 4곳, 돼지 농가 1곳이 양성판정을 받았다. 특히 소에 비해 바이러스 전파력이 최고 3000배에 이르는 돼지까지 양성으로 나옴에 따라 정부는 구제역으로는 처음으로 위기경보를 ‘주의’에서 ‘경계’로 높여 발령했다.

이번 구제역은 정부가 종식을 선언한 지 16일 만에 재발한 것이다. 질병을 사전에 예방한다는 게 쉬운 일은 아니겠지만 이처럼 자주 발생한다면 정부의 관리시스템을 탓하지 않을 수 없다. 사람의 질병이 그렇듯 가축의 질병도 후진국일수록 자주 발생한다. 구제역이 발생하면 호들갑을 떨다가 수그러들면 관심 밖에 두는 것은 아닌지 의구심이 든다. 통상 봄철에는 황사 등 구제역 감염 및 전파 요인이 많은데도 사전 예방을 소홀히 했다는 지적이 전문가들 사이에서 나오고 있다.

구제역 재발은 국가적으로 상당한 손실을 가져온다. 무엇보다 국내 가축 방역망의 안전성을 의심받으면서 ‘구제역 빈발국’이라는 오명을 쓰지 않을까 걱정하는 목소리가 높다. 농림수산식품부는 구제역 종식선언 이후 소·돼지고기 수출 재개를 적극 추진했으나 이번 재발로 당분간 어렵게 됐다. 정부가 적정한 보상을 해준다 해도 자신이 키우던 수만 마리의 소와 돼지를 생매장해야 하는 농가의 경제적 정신적 타격은 결코 가볍지 않을 것이다. 그동안의 학습효과로 소비자들이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는 것은 다행이지만 가축시장 폐쇄와 이동제한 조치 등으로 생업에 지장받는 사람들도 많다.

정부가 발생농장 주변 반경 3㎞ 내 우제류 2만5000여 마리를 살처분하는 등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고 있지만 일단은 확산을 막는 게 급선무일 것이다. 동시에 정확한 감염경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원인을 규명해야 재발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정부 내에 상시 대비태세를 구축해 축산농가들이 구제역 등 가축질병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도록 꾸준한 교육과 캠페인을 전개해야 한다.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