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Z개발사업 총체적 부실 논란… 박물관, 수요 예측 빗나가 매달 수억씩 예산 낭비
강원도가 추진한 ‘고성 DMZ 개발사업’이 부실 운영과 환경 훼손 논란에 휩싸여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녹색연합은 비무장지대 일대에 건립된 강원도 DMZ박물관과 현재 공사 중인 철원 평화·문화광장의 운영 실태를 조사한 결과, 막대한 예산낭비와 환경파괴를 확인했다고 5일 밝혔다.
정부는 DMZ 박물관과 철원평화·문화광장 조성사업에 700억원을 투입해 지난해 8월 DMZ박물관을 개관했다. 녹색연합에 따르면 강원도가 국비와 도비 450억원을 들여 지은 DMZ박물관은 매달 수억원의 적자로 운영되고 있으며, 140억원이 들어간 다목적센터는 건립 이후 단 한차례만 대관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남북교류타운 조성 기본 구상 및 타당성보고서에서는 2011년쯤 DMZ박물관 관람객 추정치가 하루 1만1496∼1만3529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지만 지난해 8월부터 5개월 동안 관람객은 실제 하루 350∼550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녹색연합은 민통선 북방에 위치한 DMZ박물관이 통일전망대 시설이용료와 이중요금이 부과되고 있고 차별 없는 전시물, 번거로운 출입절차 등이 관광객 유치 실패의 원인이라고 주장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도 도는 264억원을 들여 재두루미의 최대 도래지역인 철원 비무장지대 일대 21만8281㎡ 부지에 평화·문화광장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며 공사로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두루미, 재두루미의 서식지 환경 파괴가 우려된다고 녹색연합은 강조했다.
녹색연합은 이에 따라 DMZ박물관의 실질적 개선대책을 수립하고 DMZ 일대 종합적인 보전과 이용 기준, 원칙을 수립할 것을 요구했다. 이와 별도로 강원도 DMZ관광사업과 관련해 감사청구를 할 방침이다.
이에 대해 DMZ박물관 관계자는 “제2 땅굴, 승리전망대 등 위치 표기가 잘못된 곳을 바로 잡았다”면서 “적자가 발생한 부분에는 인건비, 물품 구입비 등이 포함돼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DMZ박물관 측은 앞으로 6·25전쟁 발발 60년을 맞아 희귀 야생조수전과 참전용사 유품전 등 차별화된 전시로 관람객을 유치할 방침이다.
고성=이종구 기자 jglee@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