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 천안함 침몰 사고] 긴박한 수색·구조작업 현장… 소형 항모급 ‘독도함’ 투입
군은 침몰한 천안함 실종자 수색에 입체 작전을 펴고 있다.
해상에서는 3000t급 대형 구조함인 광양함이 28일 오후 투입돼 본격적인 수색작업을 펼쳤다. 해난구조대(SSU) 요원들의 베이스캠프 역할을 하는 광양함이 투입됨에 따라 효과적인 수색 활동이 가능할 것으로 해군은 기대하고 있다. 이날 김성찬 해군참모총장은 광양함에 탑승해 탐색·구조작업과 준비 상황을 철야 지휘했다.
29일부터는 대형 수송함인 독도함이 현장에 투입돼 지휘 본부 역할을 맡게 된다. 독도함은 1만4000t급으로 아시아 최대 크기를 자랑한다. 길이 199m, 폭 31m, 최대 속력 23노트로 300여명의 승조원들이 승선할 수 있다. 소형 항공모함 크기다. 2007년 7월 취역한 독도함이 서해 북방한계선(NLL) 인근 해상에서 임무를 수행하는 것은 처음이다. 군 관계자는 “독도함은 사고 해상에 정박해 ‘모항(母航)’으로서 구조 작업을 총괄 지휘하게 될 것”이라며 “효율적인 구조 작업이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기뢰 탐지함인 양양함과 옹진함도 28일 밤 도착, 29일부터 본격적으로 고성능 음파탐지기를 활용해 해저를 훑을 예정이다.
미군도 구조 활동에 본격 동참했다. 미 해군은 이날 순양함과 구축함 등 총 3척을 현장에 급파했다. 해저를 수색할 수 있는 대잠헬기 시호크(SH-60) 3기가 공중지원을 벌였다. 미 해군은 29일 한미연합 야외기동연습인 독수리훈련(Foal Eagle)에 참가했던 3000t급 구조함 살보(Salvo)호를 투입하기로 결정했다. 살보호에는 16명으로 구성된 5개 잠수 구조팀이 탑승해 있다.
해저 수색작업은 SSU 요원, 미 해군의 잠수 구조팀 외에도 민간 잠수부들도 동원된다. 군 관계자는 “실종자 가족의 요구와 일부 민간인 잠수부들이 참여를 희망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일부 민간인 잠수부들은 28일부터 군 수색작전을 도왔으며, 29일부터는 본격적으로 참여할 예정이다.
육지에서는 해병대 6사단이 전 병력을 동원해 백령도 해안 일대에 대한 대대적인 수색에 나섰다. 해병대 주종화 중령은 “발길이 닿기 힘든 절벽은 고무보트를 통해서 수색하고, 나머지 지역은 병사들이 도보로 수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확한 사고 원인을 밝히기 위해서는 선체 인양 작업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군 당국은 실종자 수색에 전념하고 있는 상황이다. 군은 실종자 수색이 마무리되는 대로 인양 작업에 돌입한다는 방침이다.
인양 작업에는 다목적 구조함과 수중탐색장비, 바지선, 해상크레인 등이 필요하며 정교한 기술이 요구된다. 군 관계자는 “천안함을 끌어올리기 위해서 민간 크레인을 지원받는 등 다양한 방안을 내부적으로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군 당국은 또 선체가 두 동강 난 점이 인양 작업에 어떤 변수로 작용할지 분석하고 있다. 또 천안함의 경우 뒤집힌 채 가라앉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인양 작업은 더욱 난항을 겪을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1200t에 달하는 천안함을 물 밖으로 끌어내기 위해서는 표면 장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최소 3000t 이상의 힘이 필요하다는 견해다. 그만큼 인양이 어렵고, 시일이 많이 걸릴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