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특별검사반 필요시 언제든 투입”… 김종창 금감원장 취임 2주년 간담회
금융감독원이 저축은행에 칼을 빼들었다. 경영진 비리, 불법대출 등 혐의가 보일 때마다 즉시 현장에 투입할 수 있는 특별검사반을 구성했다. 대형 저축은행은 매년 정기검사를 해 부실의 싹을 미리 잘라낼 계획이다.
김종창 금감원장은 25일 취임 2주년 기자간담회를 갖고 “저축은행에 대한 감독과 검사를 강화하겠다. 저축은행 특별검사반을 만들었는데 필요할 때 즉시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대형 저축은행은 매년 검사를 하겠다”며 “지금까지는 검사 인력이 부족해 완벽하게 못한 측면이 있는데 매년 검사해 불법 사례가 나타나지 않고 갑자기 쓰러지는 곳이 없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형 저축은행 선정 기준은 자산 규모 1조원 이상이 유력하다.
금감원이 저축은행 감독·검사를 강화하고 나선 것은 부실을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현이다. 저축은행은 부동산 경기가 악화되면서 그동안 외형 확장을 위해 무리하게 추진했던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이 부실화되고 있다. 지난해 말 영업정지 조치를 받은 전일저축은행은 부실이 드러난 뒤 대응하는 바람에 예금자 피해가 불가피했다.
금감원은 경영진 비리와 불법대출, 부동산 PF 대출 규모 규제, 대주주 적격성 심사 등을 강화할 예정이다. 금감원에 따르면 부실 저축은행의 경우 대주주나 최고경영자(CEO)가 연루된 불법 신용대출, 자기자본 초과대출, 거액대출 등이 상당수 발견됐다. 김 원장은 “저축은행은 출자자 대출 등 불법 사례가 많이 나타나는데 여신한도 위반의 경우 20번 정도 세탁을 한 사례도 있다”며 “현장에 인력을 투입하지 않으면 찾아내기 어렵다”고 했다.
김찬희 기자 ch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