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중독 200만명 뒤늦게 비상걸린 정부
게임 등 인터넷 중독 현상으로 패륜 등 각종 사건이 잇따르자 정부가 예방교육 강화 등을 골자로 한 종합 대책을 내놓았다. 정부는 15일 행정안전부 교육과학기술부 등 7개 부처 공동으로 인터넷 중독 예방 종합 계획을 발표했다.
정부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 국민의 인터넷 이용률은 77%에 이르며 인터넷 중독자가 전체 인구의 8.8%에 해당하는 200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정부는 2012년까지 인터넷 중독률을 5% 이하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아동부터 청소년 성인 등 모든 연령대에 대해 포괄적인 대응 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우선 정부는 연간 47만명에 불과하던 인터넷 중독 예방교육 대상자를 앞으로 3년간 1000만명 수준으로 끌어올리기로 했다.
특히 기존의 청소년 대상 예방교육을 유치원과 초등 저학년으로 확대하는 한편 성인 중독자 비중이 급증하는 만큼 군 장병과 직장인 등에 대한 예방교육도 신설할 계획이다.
맞춤형 상담 치료도 대폭 강화해 무료 상담 대상자를 기존 연간 2만5000명에서 2012년까지 20만명으로 늘리는 등 3년간 30만명에 대해 체계적인 맞춤형 상담을 진행키로 했다.
중독 위험 정도에 따라 기초상담과 전문상담 병원치료 등으로 나누고 실업자와 한 부모 가정 자녀, 저소득층, 장애인 등 취약계층을 상대로 가정방문 상담도 추진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인터넷 이용 시간을 제한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보급해 인터넷 중독 방지 환경을 조성하고 홍보 캠페인도 집중적으로 전개할 방침이다.
인터넷 이용 시간과 요일 등을 이용자나 보호자가 조절할 수 있는 자율적인 셧다운(Shut down) 프로그램과 인터넷 게임을 오래 할수록 재미를 반감시키는 인터넷 게임 피로도 시스템이 개발돼 내년부터 무료로 제공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예방교육 강사와 파견 상담사 등 4000여명의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고학력 청년 6000명을 멘토링 요원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