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사·자율고, 내신·면접만으로 신입생 뽑는다
올해 자립형사립고(자사고)와 자율형사립고(자율고), 자율학교 입시에서 토익·텝스 등 인증시험 성적과 경시대회 입상성적 등으로 학생을 뽑는 특별전형이 폐지되고 내신 성적 비중이 커진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자사고 시범학교와 비평준화 지역 자율고, 일부 자율학교 등 14개 고교에 대해 2011학년도부터 ‘자기주도 학습전형’을 도입한다고 8일 밝혔다. 이들 학교는 모두 교과과정 편성의 자율성을 어느 정도 가진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고 상당수 학교가 전국 단위 모집을 한다. 자사고는 자율고와 달리 정부지원을 전혀 받지 않으며 자율학교는 주로 농어촌 지역에 설치되는 차이가 있다.
교과부에 따르면 2011학년도부터 이들 학교는 국·영·수 위주의 지필고사나 면접구술시험 또는 영재판별 검사를 실시할 수 없다. 또 영어인증시험, 교과부장관상·교육감 표창, 각종 경시대회 수상실적 등을 반영하는 특별전형이 없어진다. 민족사관고와 상산고 등은 토익이나 텝스 고득점자, 경시대회 성적 우수자 등을 대상으로 특별전형을 실시해 왔다.
대신 이들 학교는 대부분 1단계에서 고교 내신 성적으로 일정 배수를 걸러낸 뒤 이 점수에 면접 성적을 더해 당락을 결정한다. 대부분 국어·영어·수학·사회·과학 5과목의 내신을 반영하지만 충남 북일고·한일고·공주대부설고는 전 과목을 반영하고, 경북 김천고는 5과목에 수험생이 원하는 1과목을 추가해 1단계를 선발한다.
자사고인 하나고와 민사고는 1단계에서 학생부와 학습계획서·추천서 등으로 모집정원의 일정 배수를 선발한 뒤 2단계에서는 1단계 성적과 면접으로 최종학생을 뽑는다. 두 학교는 또 체력검사를 실시하는데 점수에는 반영하지 않고 합격 여부를 가리는 자료로만 활용한다. 자사고와 자율고는 외고·특목고 등과 함께 전기에 해당하지만, 자율학교는 후기인 일반고와 전형 기간이 같다. 자세한 입학전형 요강과 정원은 시·도 교육청의 고등학교 입학전형 기본계획이 확정되는 이달 말 이후 학교별로 확정·발표한다.
그러나 각종 인증시험 등의 수상실적을 전형요소에서 배제하면서 내신과 면접을 강화한 것이 사교육 해소에 도움을 주지 못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사교육걱정없는세상 김성천 부소장은 “내신과 면접으로 전형이 개편되면 이에 맞는 내신 중심의 사교육으로 학생들이 옮겨가지 전체적인 사교육은 줄어들지 않는다”면서 “사교육 유발 요소를 없애려면 평준화지역 자율고처럼 내신 성적 상위 50% 학생들만 지원을 받은 뒤 추첨으로 학생을 선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모규엽 기자 hirte@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