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한국·인도 win-win 蜜月해야
한·인도 양국은 기존의 협력관계를 정치·안보·문화 등의 분야로 확대하는 전략적 동반자관계로 격상키로 했다. 이명박 대통령과 만모한 싱 인도 총리는 25일 정상회담에서 지난 1일부터 발효된 한·인도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에 이어 광범위한 협력관계를 모색키로 한 것이다.
지난해 122억 달러였던 양국 간 교역량도 2014년까지 300억 달러로 늘린다. 이는 한국의 수출입규모 6866억 달러에 비하면 미미한 수준이다. 하지만 인구 세계 2위, 구매력 4위인 인도의 잠재력을 감안할 때 한국은 엄청난 소비·투자시장을 확보한 셈이다.
현재 인도에는 현대자동차를 비롯해 380여개의 우리 기업이 진출해 있다. 이번 관계 격상을 계기로 더 많은 국내 기업들이 일본 중국 유럽연합(EU) 기업들보다 유리한 선점효과를 구가하면서 진출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 중국 EU는 아직 인도와 CEPA 등을 체결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선점효과는 이미 빛을 발하고 있다. 4년여를 끌어온 포스코의 일관제철소 건설 프로젝트는 급물살을 타게 됐고, 두산중공업은 11억 달러(1조2000억원) 규모의 발전소 건설공사를 수주했다. 향후 한국의 원전 수출도 예상되며, 한국이 독자 개발한 공군 훈련기 KT-1의 수출 가능성도 커졌다.
인도라는 거대시장과의 연계는 분명 한국경제가 도약할 수 있는 계기로 작용할 것이다. 더불어 인도에 대한 우리의 인식과 태도도 그에 상응한 방향으로 조율돼야 한다. 일방적인 이익 추구가 아니라 혜택의 공유, 이른바 윈·윈을 모색할 때 양국 관계는 질적·양적 차원에서 발전할 수 있다.
과거 중국 시장이 열렸을 때 국내 기업들은 중국의 거대 소비시장, 값싼 노동력에만 열광했고 현지의 제도·문화·사람에 대한 이해는 많이 부족했다. 결과적으로 중국의 부상과 함께 수많은 국내 기업들이 중국에서 쫓기듯 철수해야 했음을 반면교사 삼아야 한다. 한·인도의 전략적 동반자관계가 양국의 성장·발전에 도움이 돼야 함은 물론 현재 우리 사회의 최대 관심사인 일자리 창출과도 연계될 수 있도록 민·관이 지혜를 모을 때다.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