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플랜 뭘 담았나… 원전, 반도체·조선 이어 신동력으로
정부가 13일 원자력 발전 수출산업화 전략을 제시한 이유는 원전이 자동차, 반도체, 조선을 잇는 차세대 수출품으로 부각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 때문이다. 향후 ‘원전 르네상스’ 시대에 주도권을 확보해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겠다는 것이다.
지식경제부는 2030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최대 430기 원전이 새로 건설될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세계 31개국에서 운영 중인 436기 원전과 맞먹는 숫자다. 지경부는 이 중 약 20%에 해당하는 80기를 수주해 미국, 프랑스 등 원전 선진국과 어깨를 나란히 한다는 복안이다.
원전 수출 목표를 달성할 경우 2030년까지 수주예상액은 4000억 달러. 이는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수출 규모(3638억 달러)를 상회하는 것이다. 또 156만7000명의 고용 효과와 26조7000억원의 중소기업 매출 확대가 기대된다.
원전 수출 외에 원전 운영 및 정비 시장 규모도 막대하다. 현재 가동 중인 원전의 약 54%인 234기가 20년 이상 됐고, 30년 이상인 원전도 73기나 돼 이와 관련된 원전 운영 및 정비 시장만 해도 88조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지경부는 원전 설계 코드, 원자로 냉각재펌프, 원전제어계측장치 등 핵심 기술 자립화와 토종 신형 원전(APR+) 개발을 집중 지원해 2012년까지 관련 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다. 또 2017년까지 4000억원을 투입하는 신규 연구개발(R&D) 프로젝트를 통해 원전 수명을 60년에서 80년으로 연장하고, 건설 공기도 현행 52개월에서 36개월로 단축키로 했다.
2011년까지 2800여명의 추가 인력 확보가 필요한 원전 공기업의 인력난도 해소한다. 지경부는 한국전력 등 5대 공기업에 대한 조직 진단을 통해 신규 채용을 확대하되, 원전 수출 및 R&D 인원은 정원 조정 전이라도 바로 채용할 계획이다. 한국수력원자력은 2012년까지 모두 1000명의 이공계 졸업자 및 졸업예정자를 인턴으로 채용해 예비 원전 기술 인력을 확보할 방침이다.
이 밖에 우라늄 광산의 안정적 확보를 위해 해외 광산 지분 인수 등으로 자주 개발률을 2030년까지 50%로 대폭 확대해 원전 연료의 안정적 확보에도 노력할 계획이다. 김영학 지경부 제2차관은 “원전 설계와 설비 등 병렬적인 체제를 모아 하나의 회사로 수직계열화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며 “독점공급 체계인 기자재 공급 분야에서도 경쟁 체제를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