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全大 불지핀다… 與野 비주류 중심 본격제기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한나라당과 민주당 모두에서 조기 전당대회 개최 목소리가 불거질 전망이다.
여당에서는 소장파 그룹인 ‘민본 21’이 지난해에 이어 거듭 조기전대론을 제기할 것으로 전해졌다. 중도성향 중진 의원들도 물밑에서 조기 전대론에 불을 지피고 있다. 이들은 승계직 지도부인 ‘정몽준 체제’로 선거를 치르는 데 한계가 있고, 친이명박계와 친박근혜계로 분열된 당을 재정비해야 할 필요성 때문에 전대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한나라당의 정기 전대는 원래 7월이다.
수도권의 한 중진 의원은 3일 “여당이 선거 참패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이를 피하기 위해선 국면 전환이 필요하고 현재 유일하게 남은 카드가 조기전대 아니냐”고 말했다.
그러나 당내 양대 세력은 아직 조심스런 반응이다. 친이계에서는 계파 수장격인 이재오 국민권익위원장이 당에 조기 복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박근혜 전 대표의 경우 지방선거 이전에 당대표를 맡을 경우 자칫 선거 패배로 인한 책임론에 시달릴 우려가 있다는 점에서 지방선거가 끝난 뒤 당권을 맡는 방안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정몽준 대표 쪽에서도 승계직 꼬리표를 떼내고 강력한 리더십을 확보한다는 차원에서 자진사퇴하고 새로 대표직에 도전할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당 비주류도 ‘예산 전쟁’ 패배 등을 이유로 조기전대론을 제기할 조짐이다. 비주류 초·재선 의원 모임인 ‘국민모임’은 오는 14일 ‘민주당 이대로 좋은가’라는 토론회에서 지도부 책임론을 본격 거론할 예정이다. 아울러 연초 있을 무소속 정동영 의원의 복당 움직임도 조기 전대론을 확산시킬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정세균 대표는 최근 한 모임에서 “임기인 7월까지 당을 이끌겠다”며 조기 전대 가능성을 일축했다. 여권의 세종시 수정 움직임을 저지하기 위해서라도 조기 전대로 인한 힘의 분산을 막아야 한다는 게 주류 측 논리다. 또 친노무현계와의 선거연합을 위해서도 현 지도부가 최적이라고 강조한다.
손병호 한장희 기자 bhso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