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경제 어디로 가나] 위안화 무역결제 확대… 국제 기축통화로 키운다

Է:2010-01-03 18:42
ϱ
ũ
[중국경제 어디로 가나] 위안화 무역결제 확대… 국제 기축통화로 키운다

2. 통화 패권 대장정 오른 중국

중국은 올해 팍스 달러리움(Pax Dollarium:달러에 의한 경제 질서)에 대한 본격적인 도전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국제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기축통화로서 달러의 위상이 추락하자 중국이 위안화를 기축통화로 키우기 위한 가시적인 움직임을 보이기 시작했다. 아시아 주변국을 중심으로 국제결제수단으로서의 위안화 영향력을 확대하고 국제 금융무대에서의 목소리도 키우고 있다. 하지만 위안화 절상에 대한 국제사회의 압력과 유동성 확대에 따른 중국 내 금융시장 동요 등 암초도 도사리고 있다.



◇통화 패권 향한 ‘만만디(慢慢地)’ 대장정=중국은 우선 위안화의 국제화를 통해 기축통화를 향한 기반 다지기를 꾀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이미 지난해 7월부터 상하이와 광저우, 선전, 주하이, 둥관 등 5개 시범지역이 홍콩, 마카오, 동남아시아 10여개 국가와 무역거래를 할 때 달러가 아닌 위안화로 결제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이어 지난해 12월엔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홈페이지를 통해 위안화 무역결제 시범실시 지역을 대폭 확대키로 했다고 밝혔다. 국내적으로는 중국 전역, 국제적으로는 동남아 전역과 러시아 등 주변 지역으로 그 범위를 점차 확대함으로써 위안화 국제화에 나서겠다는 의지다.

중국은 지난해 12월에는 브라질과 상호 자국통화를 이용한 무역거래도 처음 시작했다. 중국은 러시아와 무역할 때도 기축통화인 달러 대신 위안화와 루블화로 결제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양국은 올해 안에 이를 현실화한다는 계획이다.

중국은 또 한국, 동남아, 남미 국가들과 체결한 6500억 위안(약 950억 달러) 규모의 통화스와프 협정을 활용하고 있다. 이 밖에 해외 금융시장에서 위안화 표시 채권을 대량 발행, 역외에서의 위안화 자산 풀(pool)도 키워 나가는 상황이다.

국제 금융무대에서 주도국으로서의 위상 강화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셰쉬런(謝旭人) 중국 재정부장은 지난해 10월 터키 이스탄불에서 열린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 연차총회에서 “IMF는 쿼터 개혁 작업을 가속화해 신흥국과 개발도상국에 상당한 쿼터와 투표권을 이전하는 개혁 방안을 내놓아야한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IMF에서는 2011년 1월에 끝나는 IMF 개혁 이후 현재 6위의 투표권을 가진 중국이 일본을 제치고 미국에 이어 세계 2위의 투표권 보유국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중국은 지난해 린이푸(林毅夫) 베이징대 교수를 WB 선임 부총재로 앉혔다. 또 중국은행 부행장이던 주민(朱民)을 인민은행 부행장으로 자리를 옮기게 한 뒤 IMF 부총재에 진출시키겠다는 야심도 드러내고 있다. 중국은 올 11월 서울에서 개최되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경제대국으로서 더욱 강한 목소리를 낼 전망이다.

◇위안화 한계와 국제사회의 견제=이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단시간 내에 위안화의 기축통화 및 중국의 금융패권 실현 가능성은 쉽지 않다는 지적이 많다. 당장 제기되는 문제가 위안화 가치 절상 문제다. 미국을 비롯한 유럽, 일본 등 선진국 그룹과 IMF 등 국제기구들은 최근 들어 줄기차게 중국 당국에 위안화 절상을 요구하고 있다.



중국은 2005년 7월 복수화폐를 통합 적용한 복수통화바스켓제도로 환율정책을 변경, 위안화 절상을 허용했다. 하지만 지난해 금융위기 이후 사실상 기존 달러고정환율제를 유지하고 있다. 중국은 수출 부진 등 중국경제 회복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위안화 절상에 적극 나서진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는 지난달 27일 관영 신화통신과 인터뷰에서 ‘위안화 가치를 평가절상하라’는 외국의 압력에 중국이 절대 굴복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런 상황에선 국제사회와 통화정책을 놓고 상당한 갈등이 불가피하고, 위안화가 제대로 된 국제통화로서의 위상도 갖기 어렵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자본시장의 미성숙과 개방 억제도 위안화 국제화를 지연시키는 요인이다. 통화의 국제화는 자본거래의 자유가 보장될 때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안정된 정치체제, 투명한 금융시스템의 결여 등도 요인으로 꼽을 수 있다. 중국의 통화패권 움직임에 대한 미국, 유럽, 일본 등의 견제와 저항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베이징=오종석 특파원 jsoh@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