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본격화한 인공지능(AI) 기술 경쟁에서 한국은 미국과 중국에 뒤처졌다는 평가가 많다. 한국의 성장 동력이었던 ‘패스트 팔로워’ 전략으로는 AI 무한경쟁 시대에서 살아남기 어렵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한주 국정기획위원장 역시 다가온 AI 시대를 제대로 준비하지 않으면 한국이 돌이킬 수 없는 상황에 처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 위원장은 17일 국민일보가 주최한 2025
김민석 국무총리가 17일 국민일보 주최 ‘2025 국민공공정책포럼’에 참석해 “인공지능(AI)이 세계 5대 경제 강국 도약을 앞당기는 새 성장엔진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AI 3대 강국을 목표로 강력한 드라이브를 걸겠다”고 밝혔다. AI는 하나의 기술을 넘어 미래 사회 전체를 획기적으로 바꿀 게임체인저로 불린다. 미래 주도권을 쥘 핵심 전략자산이기에 전 세계가 AI 무한
김민석 국무총리는 17일 “인공지능(AI) 강국으로 나아가기 위해 국가가 관련 인프라 문제를 해결하고, 인재 확보를 위해 노력하겠다”면서 “공공 데이터 문제도 함께 논의해 AI 시대를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서울 여의도에서 국민일보가 주최한 ‘2025 국민공공정책포럼’ 축사에서 “정부가 최선을 다해 위기를 돌파하고, AI 시대에 앞서가는 대한민국을 만들겠다”며 이
제조업과 수출 중심의 한국식 ‘성공 방정식’이 한계에 이르면서 인공지능(AI)이 새로운 돌파구로 부상하고 있다. 저성장과 생산성 위축, 저출생·고령화 고착화의 과제를 안고 있는 정부도 AI를 성장 동력으로 지목하고 있다. 정부가 지향하는 ‘진짜 성장’을 이루기 위해선 AI의 핵심 자원인 전력, 인재, 규제 혁신을 동시에 확보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민일보는 17일 서
이미 인간 삶에 깊숙이 침투한 인공지능(AI)은 일하는 방식마저 바꾸고 있다. 이로 인해 업무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면서 AI 기술력 차이는 국가 경쟁력 차이로 이어지고 있다. 점차 치열해지는 ‘AI 전쟁’에서 우위를 차지하려면 실제 산업 현장과 일상에서 AI 적용을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김유철(사진) LG AI연구원 전략부문장은 17일 국민일보가 주최한 ‘2025 국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