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서울 종묘 일대가 ‘세계유산지구’로 지정된다.
국가유산청에 따르면 문화유산위원회 산하 세계유산분과는 13일 오후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회의에서 ‘종묘 세계유산지구 신규 지정’ 안건을 가결했다. 이에 따라 종묘를 중심으로 한 총 91필지, 면적 19만 4089.6㎡ 일대가 세계유산지구로 지정된다. 다음 달까지 심의 결과를 고시 예고한 뒤, 예고 기간이 끝나는 대로 지정을 확정할 예정이다.
국가유산청은 참고자료를 통해 “국내법인 세계유산법에 따라 종묘는 세계유산지구 지정 고시 이후 세계유산영향평가의 공간적 범위 대상으로 설정된다”며 “국가유산청장은 종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업에 대해 세계유산영향평가를 요청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국가유산청은 다음 달 중 행정절차를 마무리하고 서울시에 세계유산법에 근거한 세계유산영향평가 실시를 요청할 방침이다.
이번 결정은 서울시가 추진하는 종묘 앞 세운4구역 재개발에도 직접적 영향을 줄 전망이다. 세계유산지구에서는 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훼손할 우려가 있는 개발행위가 제한된다. 건축 및 도로 건설과 토지 형질 변경을 하려면 국가유산청장의 허가 또는 협의가 필요하다.
세운4구역은 최근 서울시와 국가유산청의 갈등이 표면화한 곳이다. 서울시는 국가유산청과 협의해 결정한 건물 높이를 72m에서 일방적으로 최고 145m로 상향해 고시했다. 앞서 유네스코는 서울시의 세운재정비촉진계획이 종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해 유산영향평가 실시를 요청했다. 국가유산청은 이 같은 내용의 공문을 지난 4월과 5월, 9월 세 차례에 걸쳐 서울시에 전달했으나 서울시로부터 공식 회신을 받지 못한 상태다.
손영옥 미술전문기자 yosoh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