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의 거리 1만2700㎞. 튀르키예 이스탄불을 거쳐 24시간 가까이 비행기를 타야 닿을 수 있는 곳이 아프리카 모리타니다. 모로코 알제리 말리 세네갈에 둘러싸인 이슬람 공화국인 모리타니는 사하라 사막 서쪽 끝자락에 있어 일년 내내 건조한 모래바람이 거리를 휘감는다. 수도 누악쇼트도 베르베르어로 ‘거센 바람이 부는 곳’이라는 의미다.
인구 440만여명, 국민 99.99%가 이슬람교인 이곳 주민들의 눈 건강이 날이 갈수록 나빠지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온몸을 휘감는 모리타니 전통의상인 다라와 멜라파로도 가릴 수 없는 곳이 바로 눈이다.
현지 의사들은 국민 상당수가 안질환을 앓고 있고 실명 원인의 절반 이상이 백내장 때문이라고 했다. 문제는 우리나라보다 10배나 넓은 면적의 이 나라에 안과 전문의가 고작 40명 안팎이라는 점이다. 그마저도 누악쇼트에 집중돼 있어 평생 안과 의사를 한 번도 만나지 못하는 게 모리타니 국민의 현실이다.
어둠 속에 빠진 이들을 위해 한국과 미국 의료진이 해마다 11월이 되면 모리타니를 찾고 있다. ㈔비전케어(이사장 김동해)의 ‘비전아이캠프’다. 국민일보가 비전아이캠프의 의료봉사팀과 동행해 모리타니 환자들을 만났다. 지난 11일(현지시간) 누악쇼트 국립병원 앞에는 백내장 때문에 길게는 10년이 넘도록 고생했던 이도, 의료진을 만나기 위해 사막길 800㎞를 가로질러 온 이도 있었다.
진료가 시작되자 한 층짜리 안과 병동은 환자들로 가득 찼고 대기 행렬은 건물 밖까지 이어졌다. 인력 시간 재원을 고려했을 때 닷새간 진행되는 이번 캠프에서 수술할 수 있는 인원은 최대 80명. 올해 치료를 받지 못하면 1년 뒤 다시 번호표를 받아야 한다. 환자들은 가족들 손을 잡고 간절하게 차례를 기다렸다.
정한욱 고창우리안과 원장은 수술 전 양손을 포개 환자 눈에 살며시 올린 뒤 눈을 감고 조용히 기도했다. 환자는 알라에게 의료진은 하나님 앞에 기도를 올렸다.
정 원장은 수술용 현미경에 눈을 고정한 채 메스를 들었다. 이어 환자의 각막을 3㎜ 정도 절개한 뒤 수술 장비를 사용해 백내장으로 뿌옇게 변한 수정체에 초음파를 쏘기 시작했다. 인공수정체를 접어 넣고 펼치는 마지막 과정은 1㎜의 오차도 허락되지 않는 정밀 작업이었다. 온종일 이런 수술이 20번 반복됐다.
"아들 얼굴이 보여요. 잘생긴 내 아들…. 선생님 감사합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어제까지 1년 반 동안 아무것도 볼 수 없었던 바델(68)씨는 수술 하루 만에 아들을 봤다. 아들은 곧장 엄마 이마에 입을 맞췄고 바델씨는 말로 표현할 수 없을 만큼 기쁘다며 기자에게 이렇게 부탁했다. "휴대전화로 지금 이 순간을 찍어주세요. 아들과 함께 있는 내 모습을 보고 싶어요." 하루 만에 왼쪽 시력이 0.5까지 회복된 바델씨에게 의료진은 사흘 뒤쯤이면 시력이 더 좋아질 거라는 기쁜 소식을 전했다.
7년 전부터 시야가 흐려지다가 결국 3년 전 실명한 삼바시(78)씨도 오른쪽 눈 시력을 되찾았다. 아들의 차를 타고 450㎞ 거리를 달려왔다는 그는 "현지 의사들에겐 눈을 고칠 방법이 없다고 들었는데 비전케어에서 제 눈을 고쳐주셨다"며 "이제 혼자서도 일상생활을 할 수 있을 것 같다. 정말 감사하다"고 말했다.
2012년 시작된 모리타니 비전아이캠프는 지난 13년간 누악쇼트에서 12회 진행됐다. 그래도 수술을 기다리는 환자가 수술을 받은 환자보다 많다. 80명을 다 치료해도 내년엔 또다시 수백 명이 줄을 선다. 치료하는 속도보다 백내장 환자가 늘어나는 속도가 더 빠르기 때문이다.
전요한 비전케어 모리타니 지부장은 "모든 환자를 다 치료하지 못하는 게 안타깝지만 치료받은 분은 새 인생을 선물로 받으신다"며 "매년 비전케어가 온다는 소식에 1년 동안 희망을 품고 사시는 분들도 적지 않다"고 했다.
의료진과 자원봉사자들이 떠난 뒤에도 전 지부장은 환자들과 교류를 이어간다. 수술 경과를 지켜보고 필요하면 안경도 맞춰준다. 어떤 환자들은 자신의 눈을 고쳐준 의료진에 대해 묻는다. 그때 전 지부장은 이야기한다. 그분들은 소명을 품고 오신 분들이라고, 모리타니에 하나님의 사랑을 나누러 온 거라고.
누악쇼트(모리타니)=글·사진 이현성 기자 sag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