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조8000억원 규모의 한국형차기구축함(KDDX) 사업자 선정이 해를 넘길 것으로 전망된다. 북한이 해군 전력을 노골적으로 증강하는 가운데 사업이 지연되면 근해 억지력에 공백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해군 관계자는 12일 “KDDX 사업 지연이 계속되면 북핵 대응을 위한 해상기반 한국형 3축체계 구성에 차질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KDDX는 선체와 이지스 체계를 모두 국내 기술로 건조하는 첫 국산 구축함 사업이다. 개발비 1조8000억원과 6척 건조비 6조원을 합쳐 7조8000억원이 투입된다.
KDDX 사업은 행정 절차와 심사 문제로 제동이 걸린 상태다. 2023년 12월 기본설계를 마친 뒤 지난해 상세설계와 건조 작업에 착수할 예정이었지만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의 과열 경쟁으로 2년 가까이 지체됐다. 방위사업청은 연말까지 사업자 선정 방식을 확정한다는 계획이지만 내부 의견이 엇갈리며 논의가 공전을 거듭하고 있다.
반면 북한은 해상 전력 증강전략 속도전을 펼치고 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지시로 지난 4월, 6월 5000t급 구축함 최현호와 강건호를 각각 진수했다. 김 위원장은 강건호 진수 후 “내년부터 최현호급 구축함을 매해 2척씩 작전 수역에 배치하겠다”고 선언했다. 군 관계자는 “북한은 KDDX처럼 압도적 성능의 구축함을 만들 기술력이 없다”며 “대신 신형 구축함을 최대한 빠르게 건조해 근해 작전능력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해군은 북한 구축함의 지속적 배치가 현실화하면 단기 전술계획을 재검토할 가능성이 있다. 일부 전력 재배치와 감시체계 보강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