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여행객이 늘어나자 국내 저비용항공사(LCC)들이 앞다퉈 부산에서 출발하는 항공편을 늘리고 있다. 엔데믹 이후 국내 여행객의 수요가 인천공항으로 많이 몰리자 LCC들은 김해 공항을 중심으로 노선을 증편하고 있다.
29일 국토교통부 항공정보포털에 따르면 인천공항에서 뜨고 내린 비행기는 올해 1~8월 27만2401편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27만1178편을 넘어선 역대 최대 운항 횟수다. 2019년 6166만명과 비교하면 약 95% 수준까지 회복한 수치다. 국제선 여객 수로 보면 인천공항이 전체 국제선 여객 수의 79.2%를 차지하는 4628만명이었다. 이 기간 국제선 전체 여객은 5841만명이다.
이렇게 인천공항에 국제 여행객이 몰리자 노선 슬롯(항공기 이착륙 횟수)이 포화해 부울경(부산·울산·경상남도) 지역 여행객이 김해공항 등으로 움직이고 있다.
김해공항의 올 상반기 국제선 이용자 수는 약 429만 명이다. 지난해 동기(288만명) 대비 50% 증가한 수치다. 지역공항 중에서 국제선 여객 수송 1위다. 그다음으로는 김포공항(254만명), 제주공항(165만명), 청주공항(99만명), 대구공항(91만명), 무안공항(23만명), 양양공항(1만명) 등 순이다.
국내 LCC들은 오는 10월부터 동계 스케줄에 부산발 노선을 늘려간다는 계획이다. 국내 LCC 1위인 제주항공은 10월 27일부터 부산발 코타키나발루(주6회), 가오슝(주3회), 삿포로(주5회) 일정으로 신규 운항을 준비하고 있다. 싱가포르 노선은 주 6회 운항에서 매일 운항으로 늘어난다.
이스타항공은 부산발 대만·오키나와·구마모토·치앙마이 노선을 매일 운항한다. 국내선인 부산~김포 노선도 매일 왕복 3회 운항할 예정이다. 진에어는 부산발 타이베이 노선을 매일 운항한다. 또 나고야 노선에는 신규 취항한다.
대형항공사(FSC)의 취항은 늘어나지 않고 있다. 실제로 올 상반기 김해공항을 오갓던 항공기 2만 4849편 중 FSC 10곳의 운항 편수는 5662편으로 약 23%에 불과했다. 지난 4월 김해공항에 복항한 대한항공은 기체 크기를 줄인 것으로 전해진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LCC 쏠림 현상으로 FSC를 이용하려는 부울경 여행객은 여전히 인천공항을 이용해야하는 불편은 여전하다”고 말했다.
한명오 기자 myung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