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에서 인공지능(AI)을 떼낼 수 없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AI 설교가 가져올 잠재적 위험성을 인지하며 활용하는 자세가 요구된다.”
김대혁 총신대 설교학 교수의 제안이다. 김 교수는 26일 경기도 안양 동안구의 안양일심교회(김홍석 목사)에서 열린 ‘한국기독교윤리연구원 여름 콘퍼런스’에서 “AI를 설교 준비에 사용할 때 검증되지 않은 내용이 포함되거나 목회자 설교의 일관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고 지적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인공지능 챗봇인 챗GPT를 설교에 활용하고자 한다면 ‘설교다움’이 전제돼야 한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김 교수는 “설교는 단순한 지식 전달이 아닌 하나님의 진리를 전하는 과정”이라며 “설교를 작성함에 있어 편의성 효율성만을 추구하는 유혹에 빠지지 말아야 한다. 영적 분별력과 민감성을 가져야 한다”고 주문했다.
앞서 장영하 영국과학기술정책연구소 교수는 “인간을 능가해 사고하는 AI가 등장하면서 ‘기계가 자율의지 의식 등을 갖는지’에 대한 논의가 등장했다”면서 AI시대에 크리스천이 갖춰야 할 조건으로 경청과 묵상, 교제를 제시했다. 그는 “AI시대의 인간 언어는 결과론적인 ‘그러므로’이지만 크리스천의 언어는 ‘그럼에도 불구하고’가 돼야 한다”면서 “약함이 강함되고 광야의 삶이 축복이라고 감사하는 삶이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고백”이라고 강조했다.
한국교회가 AI시대에 마주할 현실을 논하고 대안을 모색하고자 마련된 이번 행사는 ‘인공지능이 만들 교회의 풍경’을 주제로 열렸다. 참석한 목회자 50여명 중 3분의 2 정도는 설문을 통해 “챗GPT를 활용해 설교를 준비한 적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박윤서 기자 pyun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