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건강] 우리나라 직장인 5명중 4명은 건망증을 겪는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인사포털 인크루트(대표 이광석)는 최근 직장인 298명에게 건망증이 있는지를 물은 결과 응답자의 88.3%가 그렇다고 응답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조사 결과 건망증이 있다는 응답자들의 경우 그 정도에 따라 ‘약간 심하다’(46.4%), ‘매우 심하다’(6.5%)로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본인의 건망증이 심한 상태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심하지 않다는 응답중 ‘별로 심하지 않다’(14.4%), ‘전혀 심하지 않다’(0.8%) 등이었으며, 보통이라는 응답자는 31.9%였다.
직장인들의 대표적인 건강증 증상으로는 ‘대화 중 하려던 말을 잊거나 하고 싶은 말이 떠오르지 않는다’는 답이 41.4%로 가장 많았다. 뒤를 이어 ‘해야 할 일을 잊어버린다’는 응답이 27.4%였고, ‘물건을 놓고 다닌다’ 21.3%, ‘약속을 잊어버린다’ 4.2%, ‘전화번호가 기억나지 않는다’ 3.0% 순이었다.
특히 이번 조사에 따르면 직장인들의 건망증은 자신의 업무에도 피해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망증이 업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 적 있냐는 물음에 ‘있다’는 답변이 77.2%로 ‘없다’의 22.8%보다 월등이 높았다.
또 건망증으로 물건을 잃어버리는 등 금전적 피해를 입은 경험의 경우 ‘있다’(47.5%), ‘없다’(52.5%)로 조사됐다.
이처럼 직장인들은 자신의 건망증의 가장 큰 원인에 대해 ‘스트레스, 긴장감 등 정신적 요인’(59.3%)를 가장 첫 번째로 꼽았다. 이어 ‘스마트폰, PC 등으로 무언가를 따로 외우지 않아도 되는 환경’(18.6%), ‘과다한 업무량’(11.4%), ‘노화’(2.7%), ‘사고 경험, 약물 복용 등 신체적 요인’(1.9%) ▶기타(3.8%) 등이었고, ▶‘잘 모르겠다’(2.3%)는 답변도 소수 있었다.
직장인들의 건망증 대처 방법의 첫 번째는 메로를 자주한다(41.8%)였다. 이어 ‘머리를 많이 쓰려고 노력한다’(15.6%)거나, ‘휴대폰 알람 기능 등을 활용한다’(11.4%)는 응답자들도 있었다. 이외에 응답자들은 ‘스트레스를 받지 않으려고 노력한다’(9.1%)거나 ‘운동, 취미활동 등으로 스트레스를 푼다’(3.4%)고 답했다. 반면, 건망증에 특별히 노력을 기울여 대처하지 않는 경우는 17.5%였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송병기 기자 songbk@kukimedia.co.kr
직장인 5명중 4명은 건망증 겪는다
입력 2011-11-14 1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