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수감 중인 측근들이 자신들에 대한 검찰 조사 방식에 잇달아 반발하고 나섰다. 이 대표로 올라가는 수사 길목을 막아서려는 측근들과 이들 조사를 통해 이 대표 혐의 흔적을 찾아내려는 검찰 간 줄다리기가 이어지는 모습이다.
19일 법조계에 따르면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는 오는 22일 수원지검에서 대북송금 의혹 관련 추가 조사를 받을 예정이다. 이 전 부지사는 지난 15일 김성태 전 쌍방울 회장 등과의 4자 대질신문 이후 조사 방식에 불만을 표하며 소환에 불응해 왔다.
4자 대질에서 김 전 회장, 방용철 쌍방울 부회장 등은 ‘대북송금 사실을 알고 있지 않았느냐’는 취지로 이 전 부지사를 압박했고, 이 과정에서 고성도 오간 것으로 전해졌다. 김 전 회장은 이 전 부지사를 향해 “회사 다 망하게 생겼다” 등으로 따졌다고 한다. 이 전 부지사가 “회장님”이라고 존대하자 김 전 회장이 “20년 가까이 형·동생으로 지낸 사람이 어떻게 저럴 수 있냐”며 화를 내기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전 부지사 측은 “위협을 느꼈는데도 검찰에서 김 전 회장을 말리지도 않았다”며 “4자 대질이 아닌 차분한 분위기에서 (김 전 회장과) 1대 1 대질이 이뤄져야 한다”고 요구했다.
정진상 전 민주당 대표실 정무조정실장은 서울중앙지검 조사 당시 회유 협박이 있었다고 주장한다. 지난 2일 조사 때 검사가 “변호사가 당신에게 도움이 되는지 잘 생각해라. 형이 선고되면 강력범들과 혼방 생활을 할 수 있는데 괜찮겠나”라고 발언했다는 주장이다. 검찰은 “정상적 수사 절차에 악의적 프레임으로 일관해 유감”이라고 반박했다.
정 전 실장은 이 대표 구속영장에 적시된 5개 혐의 모두 이 대표와 공모 관계로 묶인 핵심 인물이다. 이 전 부지사 역시 쌍방울 대북송금 의혹과 이 대표 간 연결고리 위치에 있다. 검찰로서는 이 대표 혐의 소명이나 수사 진척을 위해 넘어야 할 고지이기도 한 셈이다. 앞서 ‘이재명계 좌장’으로 꼽히는 민주당 정성호 의원이 두 사람을 접견한 사실이 드러나 공방이 벌어지기도 했다.
신지호 기자 p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