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형 이주민 가사노동자’ 서비스를 제안했던 오세훈 서울시장이 이번엔 가사노동자에 대한 본격적인 실태조사에 착수한다. 서울시가 가사노동자에 대한 실태조사에 나서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와 동시에 ‘서울형 가사서비스’ 지원 사업도 본격 추진한다.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10일 ‘서울시 가사노동자 노동환경 실태조사’ 용역을 공고했다. 입찰 마감은 28일까지다. 조사는 용역 계약 후 4개월간 진행된다.
이번 조사의 목적은 서울시 가사노동자 보호 및 지원방안 마련이다. 시는 이를 통해 가사서비스 시장, 가사노동자 규모와 분포 등을 파악할 예정이다.
특히 시는 가사노동자들의 상황을 더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고용노동부 인증을 받지 못한 비법인 기관 등을 이용한 가사노동자까지 포함해 조사를 진행한다.
시는 이들을 대상으로 임금, 노동시간 등 일반적인 내용뿐만 아니라 휴식·식사시간, 직업교육 경험, 플랫폼업체 이용 여부 등 가사노동자의 특수성도 살펴볼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19일 “이번 조사를 바탕으로 올해 말까지 가사노동자 보호 및 지원 기본계획을 수립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또 서울형 가사서비스 지원 사업의 본격 추진을 위해 서비스 제공 업체를 모집한다. 서울에 주사무소를 두고 가사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서울형 가사서비스 지원 사업은 청소 등 부모의 가사노동 부담을 덜어주고 일·가정 양립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시는 서울에 거주하는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임산부·맞벌이·다자녀 가정 1만3000가구에 가구당 가사서비스 이용할 수 있는 바우처를 6회 제공할 예정이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