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이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 하락 현상이 현실화되자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해법은 두 가지로 집약된다. 먼저, 국민의힘 전당대회 ‘멀리하기’다. 대통령실은 당무 개입 논란이 윤 대통령 지지율 내림세 주범으로 지목하고, 국민의힘 전당대회와 관련해 추가적인 메시지를 내놓지 않을 계획이다.
윤 대통령은 또 노동개혁을 중심으로 한 ‘3대 개혁’(노동·연금·교육)과 민생·경제 문제에 더욱 매진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윤 대통령이 “노조의 불법행위에 대해서는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 대응하라”는 입장을 강조했을 때 지지율이 올랐다는 좋은 기억 때문이다.
윤 대통령이 이날 “은행 고금리로 인해 국민 고통이 크다”면서 금융위원회에 대책 마련을 지시한 것도 민생 문제에 집중하겠다는 의지를 부각시킨 것으로 분석된다.
윤 대통령은 2월 들어 지지율 하락 국면을 맞았다. 리얼미터가 미디어트리뷴 의뢰로 지난 6일부터 10일까지 전국 성인 남녀 2506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13일 공개한 결과, 윤 대통령의 직무수행에 대한 긍정 평가는 직전 조사(지난달 30일~지난 3일) 대비 2.4% 포인트 내린 36.9%로 집계됐다. 한국갤럽의 여론조사에서도 2주 연속 지지율이 소폭 떨어졌다.
대통령실은 지지율 하락이 현실화됨에 따라 국민의 호응을 얻고 있는 노동개혁을 중심으로 3대 개혁에 더욱 강한 드라이브를 걸겠다는 방침이다. 대통령실이 지난 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대통령과의 대화’ 행사에서 나온 윤 대통령의 노동개혁 발언을 12일 뒤늦게 공개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대통령실은 악재로 지목됐던 김건희 여사 주가 조작 의혹도 지난 10일 도이치모터스 주가 조작 사건 1심 판결 이후 일단락됐다고 보는 분위기다. 대통령실 핵심관계자는 “판결 결과를 보면 문재인정부에서 이뤄진 도이치모터스 주가 조작 사건에 대한 검찰 수사 자체가 무리였다는 것이 드러났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민생 살피기’에 더욱 집중할 전망이다. 아랍에미리트(UAE)에서 300억 달러의 투자를 유치했던 것이 여론에 긍정적인 영향을 줬지만, ‘난방비 폭탄’ 사태에 대한 여진이 남아 있는 데다 고금리·고물가 상황이 계속 발목을 잡고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윤 대통령은 이날 한덕수 총리와의 주례회동에서 “올 한해 경제 상황이 매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정부 정책이 국민 일상에 미치는 영향 등을 국민께 미리미리 충실하게 설명 드려 국민께서 미리 대비할 수 있도록 해 달라”고 당부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