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하철 참사 20주기… 안전테마파크 명칭 여전히 논란

입력 2023-02-14 04:03
대구지하철 화재참사 20주기(18일)를 닷새 앞둔 13일 대구 중구 중앙로역 기억공간에 마련된 추모장소에 시민들이 놓아둔 국화꽃들이 쌓여 있다. 연합뉴스

대구지하철 화재참사가 20주기를 맞았지만 유족 등이 요구하고 있는 대구시민안전테마파크에 ‘2·18기념공원’ 명칭을 병기하는 방안은 여전히 답보 상태다. 추모사업 등을 벌이기 위해 설립된 2·18안전문화재단은 20주기를 계기로 사고 교훈과 의미를 담을 수 있는 명칭 병기가 조속히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할 방침이다.

2·18안전문화재단은 2021년 ‘대구시 시민안전테마파크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에 2·18기념공원 명칭 병기 근거를 포함하는 내용의 조례개정청원서를 대구시의회에 제출했지만 개정은 차일피일 미뤄지다 흐지부지됐다.

명칭 변경 움직임은 오래전부터 있었다. 화재참사 이후 유족들은 희생자를 추모할 수 있는 추모공원 설립을 대구시에 요구했지만 주민 반발 등으로 입지 선정이 어려웠다. 2005년 시와 유족들이 팔공산집단시설지구 내 시유지에 테마파크를 건립하고 안전 상징 조형물을 설치하기로 합의했고 인근 상인들도 추모관 제외 조건으로 이를 수용했다. 지역의 안전체험 학습장으로 이용되고 있는 테마파크는 2008년 개관했다.

하지만 테마파크에 추모공간 의미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다며 유족들의 명칭 변경 요구가 계속됐고 인근 상인들과 갈등이 이어졌다. 2017년에도 대구시민안전테마파크 명칭을 추모공원으로 바꾸는 안이 추진됐지만 인근 상인들의 반발로 무산됐다. 이에 명칭 병기를 위한 개정도 추진했지만 성과를 내지 못했다.

2·18안전문화재단 관계자는 13일 “국시비 200억원, 화재참사 국민성금 50억원이 투입된 시설이지만 화재참사와 관련한 명칭과 흔적을 찾기 어렵다”며 “유족들의 바람대로 화재참사의 교훈을 기억할 수 있도록 명칭을 병기하는 것이 남은 과제”라고 말했다. 18일에는 대구시민안전테마파크 추모탑 앞에서 20주기 추모식이 열린다. 2003년 2월 18일 대구도시철도 1호선 중앙로역을 지나던 전동차에서 방화로 인한 화재가 발생해 192명이 숨지고 151명이 다쳤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