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가족들은 연말연시가 되면 북한에 있는 가족들이 그리워 더욱 잠 못 이룬다. 생이별하고 생사조차 모르니 얼마나 답답하고 안타까울까. 문재인정부 초기만 해도 생사 확인은 물론 이산가족 상봉은 어떤 식으로든 자주 이뤄질 것으로 기대했다. 하지만 남북, 북·미 관계가 급랭하면서 언제나 그런 날이 올지 기약도 할 수 없는 실정이 됐다. 통일부가 어제 발표한 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내외 거주 이산가족 10명 중 아직도 8명가량은 북한에 있는 가족의 생사를 확인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산가족 1세대는 이미 급속한 고령화로 갈수록 희망을 잃어가고 있다.
이들은 죽기 전에 어떻게든 북한에 있는 가족들의 생사를 확인하기 위해 안간힘을 쏟는다. 실제로 조사에서 그나마 생사를 확인했다고 답한 응답자 가운데 절반 정도는 민간교류 주선단체나 개인에 의뢰해 북한 가족의 생사를 알게 됐다고 한다. 하지만 이들은 대부분 민간보다는 당국 차원의 교류를 희망하고 있다. 생사 확인 결과를 신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본인과 북한 가족의 신변 안전이 보장된다는 점과 교류에 들어가는 비용 부담이 없기 때문이다. 정부는 더 이상 희망고문만 하지 말고 어떤 식으로든 이산가족들의 생사 확인과 상봉은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북한도 정치적인 문제와 별도로 인도적인 차원에서라도 적극 나서길 기대한다.
[사설] 더 늦기 전에 남북 이산가족 생사 확인과 상봉 추진해야
입력 2021-12-10 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