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위중증 환자 수가 사흘 연속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산소호흡기 등의 집중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 수는 지난달까지 300명대에 머물렀으나 지난 10일 460명, 11일 473명에 이어 12일에는 475명으로 치솟았다. 사망자 수도 전날 18명으로 연일 두 자릿수를 보였다. 위중증 환자 증가는 11월 들어 단계적 일상회복을 위해 방역 지침이 완화된 데 따른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그러나 위중증자 수를 안정적으로 관리하지 못하면 위드 코로나로의 방역 전환에 심각한 도전이 될 것이다. 이를 방지할 대책을 마련하는 데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
확진자 수 위주에서 위중증 환자 관리로 방역 중심을 전환하면서 가장 신경을 써야 할 것은 병상 확보 문제다. 중증 환자가 발생할 경우 속히 전담병원에 유치해 치료하는 것은 사망자를 줄이고 후유증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우선으로 고려할 사항이다. 전체 확진자의 70~80%가 발생하는 수도권 내 중환자 병상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일이 특히 긴요하다. 서울의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11일 75.4%였고 경기와 인천은 70.3%와 72.2%를 기록했다. 정부가 단계적 일상회복 조치를 일시 중단하는 비상계획의 핵심 지표로 제시했던 기준치 75%를 서울은 이미 넘었고 여타 수도권 지역도 턱밑까지 압박을 받는 셈이다. 정부는 위중증 환자 500명까지는 현 의료체계 안에서 감당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섣부른 낙관은 금물이며, 수도권 집중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꼼꼼하게 대책을 세워야 한다.
최근의 위중증 환자 증가는 요양병원이나 시설 등에서 확진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60세 이상 고령층의 확진자 비중도 증가세다. 이들 고위험군에 대한 추가 접종을 서두르고 방역도 강화해야 한다. 백신 취약층인 소아·청소년과 미접종자들에 대한 접종도 적극 권고할 필요가 있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현재 상황이 지속되면 일상회복 2단계로의 전환이 어려울 수 있다고 11일 밝혔다. 자영업자의 희생을 강요하는 방역 단계의 제자리걸음이나 역주행을 피하려면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수를 줄일 맞춤형 대책이 필요하다. 시민들의 자발적인 방역수칙 준수도 필수적이다. 이런 민감한 시기에 김부겸 총리의 방역수칙 위반 사례가 발생한 것은 매우 유감스럽다. 자신의 종아리부터 때리는 강력한 후속 조치가 필요해 보인다. 공직자들이 솔선하고 방역수칙을 지키는 모범을 보여야 국민이 경각심을 갖게 된다.
[사설] 코로나 위중·사망 줄일 맞춤형 대책 시급
입력 2021-11-13 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