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이 석 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더불어민주당이 명실상부 최대 승부처인 수도권 전략공천 방안을 놓고 고심하고 있다. 장관과 현역 의원의 불출마로 공석이 된 핵심 지역을 지켜내기 위해 맞춤형 후보를 물색 중이다. 민주당은 이번 총선이 대선 전초전 성격을 띠는 만큼 야당의 잠룡들이 나오는 지역구에서 반드시 이길 카드를 찾고 있다.
이해찬 민주당 대표는 14일 공직선거후보자추천관리위원회 첫 회의에서 “선거제도가 바뀌어서 비례대표 10석 가까이 양보한 셈이 됐다”며 “지역구에서 그 이상을 더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이번 선거는 어려운 선거가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민주당 관계자는 “지역구에서 10~20석은 더 확보해야 제1당을 지킬 수 있다”며 “수도권에서 의석을 얼마나 더 추가로 가져오느냐가 핵심”이라고 말했다.
지난 20대 총선 당시 서울 지역 49석 가운데 민주당은 35석, 자유한국당 전신인 새누리당은 12석을 얻었다. 경기도 지역 60석 중에선 민주당이 40석을, 새누리당이 19석을 얻었다. 민주당은 일단 수도권 판세를 낙관적으로 보고 있다. 민주당 서울특별시당은 지난해 한 차례 지역구별로 판세 여론조사를 했고, 조만간 다시 한 번 지역구별 여론조사를 할 것으로 알려졌다. 현역 의원 등 민주당 주자가 한국당 등 야당 주자보다 10% 포인트, 크게는 20% 포인트까지 지지율이 높게 나온다고 한다. 서울 지역 한 의원은 “수도권엔 중도층 등 스윙보터(Swing Voter·유동층)가 몰려 있어 이들을 공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무엇보다 현역 의원이 불출마하는 지역구 등에 대한 전략공천 방안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민주당 당규에 따르면 ‘불출마 및 사고위원회 판정 등으로 해당 선거구에 당해 국회의원 또는 지역위원장이 공석이 된 선거구’는 전략선거구 선정 심사 대상이 된다. 현재까지 불출마 의사를 밝힌 민주당 지역구 국회의원은 정세균(서울 종로) 국무총리와 추미애(서울 광진을)·박영선(서울 구로을)·진영(서울 용산)·김현미(경기 고양정)·유은혜(고양병) 의원 등 현역 국무위원을 비롯해 이해찬(세종)·원혜영(경기 부천오정)·백재현(경기 광명갑)·표창원(경기 용인정)·강창일(제주 제주갑) 의원 등 총 11명이다. 민주당 전략공천관리위원회는 15일 회의에서 1차 전략 지역을 발표할 계획이다.
이 가운데 종로와 서울 동작을, 광진을에 특히 관심이 모아진다. 먼저 종로는 이낙연 전 국무총리가 유력한 출마자로 거론된다. 이 전 총리는 이번 총선에서 본인 선거뿐 아니라 수도권 전체 선거 분위기를 띄우는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보인다. 이 전 총리는 15일 오전 민주당 최고위원회의에 참석, 공식적으로 당 복귀를 선언하고 지도부에 인사를 전할 예정이다.
나경원 전 한국당 원내대표 지역구인 동작을이나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 뛰고 있는 광진을은 최적의 맞상대를 찾기 위해 고심 중이다. 민주당은 수차례 여론조사를 통해 어떤 성향의 후보가 각 지역에서 경쟁력 있는지 검토하고 있다. 당내에서도 어떤 후보가 경쟁력이 있을 것인지에 대한 의견이 엇갈린다고 한다. 가령 동작을에 나 전 원내대표와 같은 성별, 비슷한 나이대 후보가 경쟁력이 있을지 아니면 정반대 스펙과 이력을 가진 후보가 나을지 등이다. 서울 지역의 한 민주당 중진 의원은 “꼭 인지도가 높다고 해서 무조건 유리한 건 아니다. 해당 후보의 잠재력이나 발전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주당이 차례로 발표 중인 영입 인재들이 어떻게 전략공천에 활용될지도 관전포인트다.
한국당의 수도권 총선 전략도 변수다. 한국당은 당내 중진급 인사를 용산·강남4구·동작·강서 등 소위 ‘한강 벨트’ 지역에 집중적으로 출마시켜 수도권 전체로 바람을 확산시킨다는 전략이다. 실제 홍준표 전 대표나 김태호 전 경남지사, 김병준 전 비대위원장 등이 이런 요구를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재희 박재현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