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공원화 사업 본궤도… 역사 품은 생태공원 만든다

입력 2019-12-12 04:06
서울 용산구 미군기지 모습. 한·미는 11일 용산기지의 반환 협의 절차에 착수하기로 했다. 최현규 기자

서울시는 용산미군기지 반환 절차가 개시되면 정부와 긴밀히 협력해 용산공원 조성을 위한 기반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라고 11일 밝혔다. 정부와 정보공유 등 상호 간 협력체계를 구축해 신속하고 철저한 환경조사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입장이다.

용산공원조성특별법에 따르면 용산공원은 국가공원으로서 국토교통부가 조성계획을 수립해 서울시와 협의를 진행한다. 지금까지 서울시는 용산공원이 도심 중심에 조성되는 상징적 공간이라는 점에 주목하고 수차례 정책 제안과 시민들의 관심을 높이기 위한 활동을 해왔다. 시민소통공간을 운영하고 용산기지 주변 지하수 기름오염 정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서울시가 제안한 공원계획 수립 과정에서의 시민참여는 정부와 상당부분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시 관계자는 “온전한 용산공원이라는 측면에서 시민의견 수렴이 가장 중요하다”며 “특히 미군기지 반환 협상을 하면서 역사적 가치를 확인하려면 현장조사가 반드시 수반돼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기지가 위치한 용산구와도 협의해야 되고 공원 조성 시 주변 지역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서울시의회 시정질문 답변에서 “용산공원 내부만이 아니라 그 인근도 굉장히 중요하다”고 했다. 박 시장은 “미국 뉴욕 센트럴파크 주변에 뉴욕의 역사와 인문을 즐길 수 있는 도시가 잘 형성돼 있다”며 “미리 도시계획을 주변 지역까지 확대해 어떻게 용산공원과 어우러지게 할 것인가 하는 게 과제”라고 말했다. 그는 “최근에 문을 연 아모레퍼시픽 건물도 명품 건축물인데 용산공원과 어떻게 어우러지게 할까 하는 차원에서 건축계획 수정을 요구한 바 있다”며 “이런 종합적이고 면밀한 계획을 갖고 100년, 1000년 지나도 빛나는 유산이 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다만 일부에서 제기하는 용산공원 내 임대주택 건설 방안에 대해선 부정적 견해를 드러냈다.

서울시는 용산공원 조성 방향과 관련해 생태공원과 역사적 가치 보존에 방점을 두고 있다. 박 시장은 지난 8월 멕시코시티 최대 규모 도시공원인 차풀테펙을 둘러보면서 “100년 만에 돌아온 용산공원을 어떻게 온전한 생태공원으로 만들 것인가가 과제”라며 “만약 생태공원이 된다면 뉴욕의 센트럴파크 부럽지 않게 만들 수 있다”고 했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