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이른바 ‘백원우 별동대’에서 활동한 것으로 알려진 검찰수사관 A씨의 휴대전화에 대해 압수수색을 신청했다. 검찰이 A수사관 사망 직후 압수해 간 휴대전화를 이렇게라도 확보해 사망 경위를 규명하겠다는 게 경찰 입장이다.
A수사관 사망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 서초경찰서는 4일 “A씨의 명확한 사망 원인을 확인하기 위해 휴대전화와 이미지 파일 등에 대한 압수수색영장을 신청했다”고 밝혔다. 경찰 관계자는 “A씨가 사망에 이르게 된 경위를 밝히는 건 경찰 몫”이라며 “이를 위해선 A씨의 최근 통화 내역 확보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검찰은 지난 2일 서초경찰서를 압수수색해 A수사관 휴대전화를 확보, 대검찰청 포렌식센터에 분석 작업을 맡겼다. 경찰은 이날 피압수자 자격으로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 수사관 등을 보내 분석 과정을 참관했다.
문제는 검찰이 A수사관 휴대전화를 복구해 통화 내역 등을 확보하더라도 이를 경찰과 공유할 수 없다는 데 있었다. 검찰은 법원이 발부한 영장에 압수 대상물로 적시된 ‘울산경찰청장의 권리행사 방해 및 직권남용’에 관한 데이터만 확보할 수 있다.
A수사관 휴대전화는 아이폰 기종으로 6자리 숫자 비밀번호로 잠금을 풀게 돼 있다. 검찰은 최근 이스라엘 정보기관이 쓰는 포렌식 장비를 도입했지만 잠금 설정을 푸는 데 적잖은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상황에서 ‘백원우 별동대’의 존재를 야당 인사에게 증언한 청와대 특별감찰반원들이 최근 종적을 감췄다. 김도읍 자유한국당 의원과 면담을 하거나 전화통화를 했던 이들은 최근 A수사관이 숨진 뒤 일절 연락을 끊은 것으로 알려졌다.
김 의원 측은 “면담을 진행했던 특감반원들과 이달 들어 모두 연락이 닿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김 의원은 지난달 26~30일 청와대 반부패비서관실 소속 특감반원들을 상대로 유선 및 대면으로 면담을 진행했다. 이들은 “‘민정 특감반’이라 하는 아주 문제 있는 조직이 있었다” “정확히 어떤 일을 하는지 알 수 없는 비밀에 부쳐진 조직이었다” 등 실제 별동대가 존재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고래고기 사건’을 두고 불거진 검찰과 경찰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특감반원들이 울산에 내려갔다는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의 해명에 대해서도 “명백한 거짓말”이라며 강하게 반박하기도 했다.
‘친문게이트 진상조사 태스크포스(TF)’ 위원장을 맡은 곽상도 한국당 의원 측도 비슷한 시기 반부패비서관실 B행정관과 연락이 끊겼다. 곽 의원 측은 “지난주부터 B행정관 쪽에서 연락을 끊었다”고 말했다.
특감반원들은 강경한 청와대 입장에 압박감을 느낀 것으로 보인다. 면담에 응한 특감반원 대다수는 현재 청와대 소속이다. 이들은 김 의원 측과 면담에 응하면서도 신변이 드러나지 않도록 의원실에 거듭 요청했다. 김 의원 측은 “절대로 신변이 드러나지 않게 해달라는 강력한 요구가 있었고, 면담 내용 공개 뒤 움츠러든 것 같다”고 말했다.
이가현 방극렬 김용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