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6가야 중 하나로 경남 창녕을 거점으로 삼았던 비화가야. 비화가야의 고분 가운데 지금까지 한 번도 도굴되지 않아 원형이 온전히 보존된 1500년 전 지배자의 무덤 내부가 28일 처음으로 공개됐다.
문화재청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는 이날 오전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사적 제514호)에서 5세기 중후반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63호분의 뚜껑돌을 들어 올렸다. 63호분은 무덤 위에 길이 2m의 편평한 화강암 뚜껑돌 7개를 얹고, 그 사이를 깬돌로 메운 뒤 점질토로 밀봉한 상태였다. 대형 크레인을 활용해 뚜껑돌 7개 중 2개를 들어 올렸는데, 무게가 각각 2.8t과 3.8t이었고, 너비 1m, 두께 80㎝에 달했다.
봉토 지름이 21m, 높이가 7m인 63호분은 이보다 더 큰 39호분 봉토에 가려져 있어 그간 도굴 피해를 입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에는 약 250기의 고분이 있는데, 도굴된 흔적 없이 발견된 것은 63호분이 최초다.
63호분에서는 큰 항아리인 대호(大壺)와 장경호(長頸壺·목이 긴 항아리) 등 토기, 철제 유물들이 모습을 드러냈다. 그러나 인골 유무와 유물 점수, 종류는 아직 알 수 없는 상황이다. 시신을 안치하는 공간인 매장주체부 조사에는 2개월 정도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정인태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는 “매장주체부는 남쪽부터 북쪽으로 토기 피장자 토기 순장자 토기 등 5개 공간으로 나뉜다”며 “공간 넓이를 봤을 때 2명 정도 순장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손영옥 미술·문화재전문기자 yosoh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