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구의원 선거에서 범민주 진영이 압승한 것은 홍콩 민주화 시위의 정당성을 확인하는 의미가 있다. 범민주 진영은 전체 452석 가운데 388석(85.8%)을 차지했다. 그동안 과반을 점하던 친중파 진영은 60석(13.3%), 중도파는 4석을 얻는데 그쳤다.
1997년 영국이 홍콩을 중국에 반환한 이후 한 번도 과반을 차지하지 못했던 범민주 진영이 이 같은 성적을 거둔 이유는 자명하다. 범민주 진영이 시위를 지지하고, 시위대가 범민주 진영을 지지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번 선거는 홍콩 시위의 승리인 셈이다. 그리고 민주화 투쟁을 계속하라는 시민들의 명령이다. 선거전 등록 유권자가 2015년 369만명에서 413만명으로 증가하고 투표율도 47%에서 71%로 높아진 데서도 민심을 읽을 수 있다.
홍콩과 중국 정부가 이번 선거의 의미를 잘 받아들이기 바란다. 그럼에도 중국 관영매체 환구시보는 “선거 결과를 오독해 폭도들을 고무하는 일이 없어야 한다”고 썼다. 중국 정부는 홍콩 정부의 강경 진압을 지지하고 있다. 독재 정권일수록 민주화 운동을 폭력 시위 운운하며 탄압한다. 평화 시위를 강경 진압해 물리적 충돌이 일어나게 한다. 국제 사회에서 이를 문제 삼으면 내정 간섭이라고 주장하는 것도 전 세계 독재 정권들의 공통점이다. 중국은 주중 미국 대사를 초치해 중국 내정에 간섭하지 말라고 항의했다. 미 상·하원을 모두 통과한 홍콩인권법안을 겨냥한 것이다.
홍콩 시민들의 요구는 분명하다. 홍콩 자치권을 2047년까지 보장하기로 한 중국과 영국의 홍콩주권 반환 협정을 준수하라는 것이다. 아울러 송환법 공식 철회, 경찰 강경 진압 조사, 시위대에 대한 폭도 규정 철회, 체포된 시위대 석방, 행정장관 직선제 실시 등 5가지를 요구하고 있다. 홍콩 정부는 이 가운데 송환법 철회만 받아들였을 뿐이다. 행정장관 직선제의 경우 홍콩주권 반환 협정에서 2017년 실시키로 약속한 것이다. 그러나 중국 정부는 2014년 일방적으로 전국인민대표대회를 통한 간접선거로 변경했다. 홍콩 시위는 한국의 1987년 6월 항쟁과 직선제 도입을 연상시킨다. 홍콩 시민들의 민주화 운동을 높이 평가하고 적극 지지한다.
[사설] 홍콩 선거에서 확인된 민주화 열망 지지한다
입력 2019-11-27 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