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내달 말 中서 한·일 정상회담”

입력 2019-11-26 04:03
왕이(왼쪽)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이 25일 도쿄 총리 관저에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를 예방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이낙연 국무총리가 다음 달 말 중국 청두에서 한·일 정상회담이 열린다고 25일 밝혔다. 청두에서 열리는 한·중·일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일 정상회담이 개최된다고 못 박은 것이다.

이 총리는 이날 일본 도쿄에서 열린 제55회 한·일 협력위원회 합동총회 축사에서 “이제부터 양국 정부는 현안의 본격적인 해결을 향해 더욱 진지한 협의를 농밀하게 진행해야 한다”며 “12월 말 중국 청두에서 열릴 한·일 정상회담을 통해 양국이 새로운 미래로 가는 확고한 토대를 마련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일 정상회담을 계기로 양국이 갈등을 해소하기를 당부한 것이다.

축사는 남관표 주일대사가 대독했다. 이 총리는 축사에서 “올해 일본은 ‘레이와(令和)’ 신세대를 열었다”며 “양국이 레이와의 뜻 그대로 ‘아름다운 조화’를 이루며 공동 번영을 향해 협력해 가기를 소망한다”고 말했다.

이 총리는 지난달 22일 자신의 나루히토 일왕 즉위식 참석과 이때 성사된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의 회담, 이달 4일 태국에서 이뤄진 문 대통령과 아베 총리의 만남을 언급하며 “이후 당국 간 협의의 결과로 양국 관계의 몇 가지 현안이 해결의 입구를 찾았다”고 밝혔다. 이런 일련의 과정을 거쳐 양국이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종료를 ‘조건부 연기’하면서 최악의 상황은 피했다는 것이다.

이 총리는 “한·일 지도자들은 양국이 세기적 전환기를 어떻게 수용하고 그 전환기 뒤에 기다리는 미래를 어떻게 준비할 것인지를 현명하게 판단해야 한다”며 “넓고 먼 시야로 오늘의 양국 관계를 재정립하자”고 제안했다.

반면 협력위원회 일본 측 대표인 아소 다로 부총리 겸 재무상은 강제징용 배상 문제를 염두에 두고 “국가와 국가의 약속은 확실히 지킬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왕이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이 한·중·일 정상회의 관련 사전 협의차 다음 달 한국을 찾을 것으로 알려졌다. 2015년 이후 4년 만의 방한이다. 왕 부장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한 문제도 논의할 것으로 관측된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