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미세먼지 발생 원인에 대한 한국과 중국, 일본 3개국의 공동연구 결과가 처음으로 발표됐다. 국립환경과학원이 20일 발간한 ‘동북아 장거리 이동 대기오염물질 국제 공동연구(LTP)’ 요약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서울 대전 부산의 초미세먼지 발생 요인을 분석한 결과 국외 요인이 49%였으며, 이 중 중국발이 32%로 나타났다. 일본발은 2%, 나머지는 북한이나 몽골, 동남아 등에서 온 것으로 분석됐다. 중국 주요 도시에서 발생한 초미세먼지는 91%가 자체 오염원이었고, 한국발은 2%, 일본발은 1%에 불과했다. 이번 보고서는 한·중·일 전문가가 2000년부터 공동으로 연구를 추진했고 그 결과를 3국 정부가 함께 검토해 내놓은 것이다. 따라서 한국에서 연간 발생하는 초미세먼지 가운데 평균 32%가 중국에서 넘어온 것임을 중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인정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간 중국 측은 동북아 대기오염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는 듯한 발언을 공공연하게 내놓고 오염 방지를 위한 국제적 노력에 소홀하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하지만 이번 보고서를 통해 오염 원인이 과학적으로 규명됐고 3국 전문가들이 동의한 만큼 이제 3국이 국제 공조에 박차를 가해 ‘소리 없는 살인자’로 불리는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를 획기적으로 감소시켜야 할 때다. 이번 보고서에는 빠졌지만 그간 국립환경과학원 등에서 미세먼지 고농도 시기인 12∼3월 중국의 영향이 70% 정도 된다는 자료를 내기도 했으니 특히 중국이 전향적인 태도를 보여야 할 것이다.
한·중 정상은 2014년 7월 ‘환경협력 양해각서’를 교환했고, 양국은 2015년 10월 ‘대기질 및 황사 측정 자료 공유에 관한 합의서’를 체결하기도 했다. 중국은 2013년부터 미세먼지와의 전쟁을 선포해 대대적으로 대기오염물질 배출을 줄이고 있다고 한다. 고무적인 소식이다. 대기오염에 대한 책임 있는 인식은 선량한 이웃나라가 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요소다. 오는 23~24일 한·중·일 환경장관회의가 예정돼 있으니 맑고 파란 하늘을 되찾기 위한 공조를 다지기 좋은 기회다. 아울러 우리 정부는 초미세먼지의 51%가 국내에서 발생한다는 사실을 유념해 노후 경유차 운행 제한과 같은 국내적 노력도 소홀히 하지 말아야 한다.
[사설] 동북아 대기오염 공동보고서 계기로 환경 협력 서둘러야
입력 2019-11-21 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