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통합과 관련해 자유한국당 내부의 동상이몽이 심해지고 있다. 바른정당 복당파 출신 의원들이 유승민계와의 통합에 방점을 찍고 있다면, 친박근혜계와 당 지도부는 더 넓은 범위의 대통합에 무게중심을 두고 있다. 같은 보수통합을 두고도 양측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지점이 다르다보니 물밑 협상을 누가 주도하느냐는 문제부터 통합 후 공천 방식까지 친박계와 복당파가 사사건건 부딪히고 있다.
복당파인 권성동 의원은 지난 11일 당내 통합추진단장으로 친박계 원유철 의원이 임명된 것이 부적절하다는 의견을 황교안 대표에게 전달했다. 권 의원이 황 대표에게 보낸 문자메시지(사진)가 12일 언론사 카메라에 포착되면서 이 사실이 알려졌다. 유승민 의원과 원 의원은 2015년 새누리당 원내대표와 정책위의장으로 호흡을 맞췄지만, 유 의원이 박근혜 전 대통령과 대립각을 세우면서 각각 비박과 친박으로 갈라선 바 있다. 권 의원은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원 의원은 유 의원이 신뢰하는 인물은 아니다”며 “기왕이면 제대로 통합을 성사시킬 수 있는 인물을 대표로 내세우는 게 좋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복당파 의원들 사이에서는 유 의원과 원 의원의 악연이 통합 논의에 걸림돌이 될 것이란 우려가 적지 않다. 권 의원은 원 의원이 통합추진단장으로 임명되기 전 지도부에 김무성 의원을 통합기구의 장으로 추천하기도 했다. 논란이 일자 황 대표는 수도권·충청권 중진 의원들과의 오찬 자리에서 유 의원 측이 원 의원을 통합추진단장으로 원했다고 설명했다.
통합 방식을 두고도 양측이 대립하고 있다. 복당파 의원들은 유승민계와의 통합에 있어 한국당이 일정 부분 기득권을 내려놓는 것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김무성 의원은 “양쪽이 다 수용할 수 있는 공천 제도를 만들어야 통합이 된다”며 “이번으로 한정해서 국민경선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승민계에 대한 당내 반감이 여전하니 지도부가 공천권을 양보해 활로를 열어줘야 한다는 얘기다.
반면 친박계는 한국당을 중심으로 보수 세력이 모여야 한다는 쪽이다. 다수 친박계 의원들이 포함된 초·재선 그룹은 앞서 황 대표의 ‘보수 빅텐트론’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공천 권한도 지도부에 전적으로 맡기겠다고 했다. 친박계 일각에선 유승민계와 통합을 해선 안 된다는 목소리까지 나온다. 김진태 의원은 유 의원과 통합하면 공천 과정에서 당이 혼란에 빠지게 되므로 반대한다는 의견을 지도부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심우삼 김용현 기자 s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