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요금도 휴대전화처럼 ‘선택형 요금제’ 도입한다

입력 2019-10-21 04:02
서울시 스마트그리드 실증연구사업 사업모델 개념도.

서울시가 ‘4차 산업혁명’시대의 핵심 서비스로 떠오른 ‘스마트그리드(Smart Grid)’를 구현한 실증단지를 조성한다.

스마트그리드는 ‘똑똑한’이라는 뜻의 ‘Smart’와 ‘전력망’이라는 뜻의 ‘Grid’가 합쳐진 단어로 지능형 전력망을 의미한다. 전력망에 AI(인공지능), IoT(사물인터넷) 같은 정보통신기술을 적용해 전기사용량과 공급량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이 정보를 전력생산자와 소비자가 서로 주고받는 방식이다.

전기 사용현황을 바로바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전력생산자는 효율적으로 전력생산을 조절할 수 있고, 소비자는 상대적으로 요금이 비싼 시간대를 피해 전기를 쓸 수 있다.

서울시는 ‘서울시 에너지자립 혁신지구’로 선정된 서대문구를 시작으로 ‘스마트 에너지공동체’를 운영해 2023년까지 4년 간 실증한다고 20일 밝혔다. 서대문구에 조성될 실증단지는 아파트 2000세대, 저층주거 상가 빌딩 등 1000세대 규모다. 시는 실증사업의 성과를 분석해 향후 서울 전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지난해까지 에너지자립마을 100개를 조성한 데 이어 에너지자립마을 2단계(2.0) 사업으로 에너지자립 혁신지구를 공모해 지난 7월 서대문구를 선정했다.

에너지자립 혁신지구는 서울시가 그동안 소규모의 마을공동체 단위로 추진해온 에너지자립마을의 에너지절약 효율화 생산 사업을 자치구 단위로 대상범위를 넓히고, 지역의 에너지전환 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는 내용이다. 주민-기업-시-자치구가 플랫폼을 활용해 유기적으로 협력하여 에너지 수요관리 강화, 수익사업 발굴 같은 에너지전환 선도모델을 개발하는 것이 핵심이다.

서울시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미래형 스마트그리드 실증연구’ 공모에서 옴니시스템 컨소시엄과 함께 사업대상자로 최종 선정됐다. 국책사업 선정으로 서울시는 4년 간 총 187억원을 지원받는다.

서울시가 새롭게 조성하는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의 핵심은 주민 참여로 만드는 신재생에너지를 주민들이 현명하게 소비하는 ‘스마트 에너지공동체’ 육성과 ‘에너지 공유경제 시대’ 선도다.

우선 다양한 생활패턴을 고려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선택형 전기요금제’를 도입한다. 휴대폰 요금처럼 각 가구의 전력소비 패턴에 따라 다양한 전기요금제 가운데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 실증단지 내에서 생산되는 모든 신재생에너지를 하나의 발전소처럼 통합 관리하고 단지 내 주민들이 함께 공유하는 서비스도 새롭게 도입한다. 그동안 각 가정의 태양광에서 생산되는 전력은 각 가정에서만 소비할 수 있어서 남는 전력이 있어도 그냥 없어지는 식이었다면, 앞으로는 우리 집에서 남는 전기를 옆집과 나눠쓸 수 있게된다.

신재생에너지 공유 방식이 도입되면 공용부지에 설치된 태양광은 물론 가정용 태양광 등 분산형 전원을 한 곳에서 통합 관리하고 남는 전기는 한전 등 전력시장에 판매해 수익을 낼 수도 있다.

김의승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그동안 원전 하나 줄이기, ‘태양의 도시’ 등의 성과를 기반으로 에너지프로슈머의 시대를 본격적으로 열어갈 수 있게 됐다”며 “에너지자립 혁신지구에 실증사업을 접목해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을 활용한 에너지 공유 경제를 선도하고 기후위기 대응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