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사퇴 후폭풍… 여권, 거센 쇄신론

입력 2019-10-16 04:02

‘조국 사퇴’ 후폭풍이 당정청에 인적 쇄신 태풍으로 확산될지 관심이 쏠린다. 여권에서는 다음 달 문재인 대통령 임기 반환점과 내년 총선을 고려하면 공석이 된 법무부 장관 자리를 채우는 것을 넘어 대대적인 인적 개편이 불가피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지지층의 실망은 ‘검찰 개혁 완수’를 통해 다독거린다면, 이탈한 중도층의 마음을 돌리기 위해선 인적 쇄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다만 ‘조국 정국’을 가까스로 벗어난 상황에서 야당에 다시 인사청문회 정국을 열어주는 것에 대한 고민도 깊다.

여권에서는 15일 이낙연(사진) 국무총리의 당 조기 복귀론이 불거졌다. 한 여권 인사는 “법무부 장관 인사와 더불어 총리의 거취도 결정해야 할 것”이라며 “인사 폭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청와대 방침이 있다 하더라도 내년 총선을 치러야 하는 상황에서 소폭의 개각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실제로 이날 이 총리가 다음 주 일왕 즉위식에 참석한 이후 사퇴할 것이라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총리실은 즉각 “총리 사퇴 관련 기사는 사실이 아니며, 근거가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 총리의 더불어민주당 복귀는 시점의 문제일 뿐 기정사실이라는 게 여당 내부 목소리다. 여권의 유력 대선주자인 이 총리는 이해찬 대표가 이끄는 당을 보완할 수 있는 존재일 뿐 아니라 중도층 민심을 추스르기에도 적임자라는 평이 많다. 영남지역 한 의원은 “이 총리가 당으로 돌아와 선거를 이끌어야 한다”며 “이 총리의 조속한 복귀를 바라는 당내 여론이 많다”고 전했다. 그동안 여당에서는 이 총리가 아무리 늦어도 정기국회에서 예산안 처리가 마무리되면 당으로 복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여당 일각에서는 이 총리 외에 외교안보 분야의 개각도 불가피하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한 의원은 “외교는 물론 국방까지 국민 기대치에 못 미치는 장관들도 이번에 바꿔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또 총선 출마 가능성을 닫지 않은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등도 한꺼번에 개각 대상이 될 수 있다. 이날 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를 지낸 이철희 의원이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 것도 인적 쇄신의 계기가 될 수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청와대 참모진 개편 가능성도 거론된다. 여야가 첨예하게 부딪혔던 ‘조국 정국’이 문 대통령의 두 차례 사과로 끝난 만큼 보좌를 제대로 하지 못한 참모진에 대한 인적 쇄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민주당 한 의원은 “그동안의 국정 혼란에 대한 책임과 쇄신이 필요하다. 출구전략을 제대로 세우지 못했고 결단 타이밍도 계속 놓쳤다”며 “대통령 보좌를 잘못한 책임을 누군가는 져야 한다”고 했다. 다만 청와대 관계자들은 “아직 참모진 개편 움직임은 없다”고 전했다.

문제는 야당의 공세다. 조 전 장관 사퇴 이후 기세를 올리고 있는 보수 야당이 국회 인사청문회를 대대적인 공세의 장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게 여권의 우려다. 아울러 인적 쇄신이 ‘책임론’ 공방으로 번지면서 당청 갈등으로 변질될 수 있다는 걱정도 있다.

임성수 김나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