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가족 상봉 특단 대책 필요하다”

입력 2019-09-19 04:05
북측 김용수(84) 할아버지와 동생 김현수(김민수,77) 할아버지가 지난해 8월 24일 북한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에서 열린 21차 이산가족 상봉행사에서 만나 오열하고 있는 모습. 뉴시스

통일부 고위 당국자는 지난해 8월 이후 중단된 이산가족 상봉 문제 해결을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당국자는 18일 기자들과 만나 “이산가족의 고령화가 심각해 단계적으로 할 시간이 없다.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면서 “금강산 이산가족 면회소 수리 문제는 인도적 차원에서 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남북은 지난해 9·19 평양공동선언에서 금강산 지역에 이산가족 상설면회소를 개소하기 위해 조속히 시설을 복구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그는 또 “이산가족들은 ‘대면상봉을 기대하기 어려워 죽기 전에 고향에라도 가보고 싶다’는 말씀을 하신다”며 “고향방문 사업도 평양선언에 들어가 있고, 문재인 대통령도 말한 적이 있기 때문에 이 역시 인도적 차원에서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 당국자는 7개월 이상 소강국면인 남북 관계에 대해 “상황 관리를 하면서 해법을 찾아내는 게 중요하다”며 “지금은 (미국·유엔으로부터) 제재 면제를 먼저 받고, 이를 토대로 남북 협의에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금강산 면회소 수리 사업도 북한과의 협의에 앞서 제재 면제 절차를 먼저 밟아놓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하지만 북한은 남측의 각종 지원 계획에 일절 호응하지 않고 있다. 북한에서 먼저 발생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에 대한 남측의 공동방역 제안에도 응답하지 않고 있다.

이르면 이달 하순 재개될 북·미 비핵화 실무협상과 관련해 이 당국자는 “영변 핵시설 폐기에서 비핵화를 시작하겠다는 북한과 전면적 핵 활동 중단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미국의 입장 간에 차이가 존재하며, 이를 좁히는 것은 결국 상응조치의 수준”이라며 “충분한 논의가 필요하기에 실무회담은 몇 차례 열려야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외교부는 이도훈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19~21일 미국 워싱턴을 방문해 스티브 비건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와 협의를 갖는다고 밝혔다. 북·미 실무협상 재개를 앞두고 한·미 외교 당국이 의제 조율 등 작전회의를 하는 것이다.

최승욱 이상헌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