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성년자 성범죄 혐의로 수감된 미국의 억만장자 제프리 엡스타인(66·사진)이 10일(현지시간) 교도소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이에 따라 그가 저지른 아동 성범죄의 진실 규명이 난관에 부딪히면서 피해자들의 분노 어린 절규가 이어지고 있다. 교도소 측이 극단적 선택 징후를 보였던 엡스타인에 대한 ‘특별 감시’를 해제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그가 법의 심판을 받을 기회를 놓치게 만들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뉴욕타임스 등 현지 언론은 엡스타인이 이날 뉴욕 맨해튼 메트로폴리탄교도소의 독방에서 목을 매 숨진 채 발견됐다고 보도했다. 교도소 관계자들이 인근 종합병원으로 이송했을 때 그는 이미 사망한 상태였다. 엡스타인은 지난달 26일 보석 기각 후에도 비슷한 시도로 인근 병원으로 이송된 바 있다.
헤지펀드 매니저 출신의 거부(巨富)인 엡스타인은 2002~2005년 뉴욕과 플로리다 등지에서 20여명의 미성년자를 상대로 성매매하는 등 수십명을 상대로 성범죄를 저지른 혐의로 지난달 6일 체포돼 기소됐다. 유죄로 인정되면 최고 45년의 징역형이 예상된 상황이었다. 엡스타인은 2008년에도 미성년자 성범죄 혐의로 종신형 위기에 처했으나 검사와의 플리바게닝(감형협상)으로 불기소 처분을 받았었다.
하지만 그가 사망함에 따라 ‘유예됐던 정의’를 바로 세울 수 있는 기회를 허무하게 날려버렸다는 지적이 나온다. 벤 사스 공화당 상원의원은 윌리엄 바 법무장관에게 보낸 항의서한에서 “그의 어두운 비밀이 죽음으로 묻혀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바 장관도 교도소에서 엡스타인에 대한 특별 감시가 해제됐다는 얘기를 듣고 경악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미 연방수사국(FBI)과 법무부 검사실이 무슨 일이 있었는지 조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피해 여성들은 허탈함과 분노를 감추지 못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도 친분이 두터운 거물 인사 엡스타인을 힘겨운 투쟁 끝에 법정 앞에 세웠지만 죗값을 묻지 못하게 됐기 때문이다. 미성년자 시절 엡스타인에게 성적 착취를 당했다고 폭로한 버지니아 주프레는 뉴욕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여기까지 오기 위해 정말 노력했는데 그는 그 노력마저 빼앗아버렸다”고 말했다. 또 다른 피해자 미셸 리카타는 “내가 바란 건 그의 죽음이 아니라 그가 죗값을 치르는 모습이었다”며 허탈해했다.
워싱턴포스트는 피해 여성들의 변호인을 인용해 “엡스타인의 모든 재산을 동결하라는 내용의 민사소송을 진행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형민 기자 gilel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