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개각 등 주요 인사 관련 발표를 금요일에 하는 ‘금요일의 법칙’을 이어가고 있다. 정치권 일각에선 뉴스에 대한 관심이 전반적으로 떨어지는 주말을 앞두고 발표해 비판의 목소리를 최대한 피하려는 의도 아니냐는 의구심을 제기한다. 하지만 청와대는 11일 “일부러 금요일에 하는 것이 아니라 검증을 포함한 일정을 맞추다보니 시점이 금요일로 정해진 것”이라고 반박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9일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를 비롯한 10명의 장관급 인사를 단행했다. 집권 3년차 첫 개각 발표도 지난 3월 8일 금요일에 진행됐다. 조 후보자 후임인 김조원 청와대 민정수석 임명도 지난달 26일 금요일에 이뤄졌다.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은 지난 6월 21일 금요일에, 김영식 법무비서관 등 청와대 참모 5명은 지난 5월 17일 금요일에 임명됐다.
지난해도 사정은 비슷했다. ‘경제 투톱’을 동시에 교체한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김동연→홍남기), 청와대 정책실장(장하성→김수현) 인사가 11월 9일 금요일에 단행됐다. 조명래 환경부 장관(10월 5일), 민갑룡 경찰청장(6월 15일) 인사도 금요일이었다. 이를 두고 청와대 내부에선 ‘금요일이 인사데이’라는 말도 나왔다.
현 정부 고위직에 내정됐다가 비위가 불거진 6명 가운데 4명은 공교롭게도 금요일에 사퇴 의사를 밝혔다. 안경환 법무부 장관 후보자(6월 16일)와 박기영 과학기술혁신본부장 후보자(8월 11일), 이유정 헌법재판관 후보자(9월 1일), 박성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9월 15일)는 모두 지난해 금요일에 사퇴했다.
청와대가 비판 여론을 피하려고 주말을 앞둔 시점에 인사 발표를 한다는 지적이 있다. 보통 금요일 오후부터 뉴스에 대한 관심도가 떨어지고, 주요 일간지의 토요일자 지면도 적어 금요일 발생 뉴스가 비중 있게 처리되지 않는다. 또 지명이든 사퇴든 논쟁적 인사 발표에 따른 후폭풍이 주말을 지나면서 누그러지는 경우가 많다. 한 홍보업계 관계자는 “개각 발표가 계속 금요일에 이뤄지는 것은 우연의 일치가 아닌 것 같다. 청와대의 판단이 들어간 사안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나 청와대는 비판 여론을 피하려는 의도가 아니라는 입장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검증에 시간이 걸리고 고려하는 사안이 많다보니 금요일에 발표하게 된 것”이라고 해명했다. 또 “이번 개각은 광복절 전주에는 완료해야 한다는 방침이 있었다. 인사는 최종 후보자가 수시로 바뀌기 때문에 이런 점들이 막판까지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