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화이트리스트 한국 제외 조치를 놓고 한·일 외교수장이 태국 방콕에서 설전을 벌였다. 애초부터 화이트리스트에 없었던 싱가포르는 오히려 리스트를 더 확대하라며 일본의 조치를 비판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2일 태국 방콕 센테라그랜드호텔에서 열린 ‘아세안+3(한·중·일) 외교장관회의’에서 일본의 추가 수출규제 조치를 강력 비판했다. 다자회의에서 특정국가를 비판하는 것은 상당히 이례적인 일이다.
강 장관은 “일본이 화이트리스트에서 한국을 독단적·임의적으로 제외한 데 대해 엄중히 우려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주요 무역 파트너 간 긴장 고조에 대해 아세안 외교장관들이 지난달 31일 채택한 공동성명에 표현된 우려에 전적으로 공감한다”고 말했다.
이에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은 “나는 아세안의 친구들로부터 불만을 듣지 못했다”며 “한국은 우리의 아세안 친구들보다 더 우호적이거나 동등한 지위를 누려왔고, 누릴 것인데 강 장관이 언급한 불만의 근거가 뭔지 모르겠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회의가 비공개로 전환된 뒤 비비안 발라크리쉬난 싱가포르 장관이 일본을 비판한 것으로 전해졌다. 발라크리쉬난 장관은 일본의 화이트리스트에 아세안 국가가 한 곳도 포함되지 않은 점을 지적하며 “공동번영을 위해서는 화이트리스트를 줄일 게 아니라 오히려 늘려야 한다”고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왕이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도 “싱가포르 외교장관의 발언에서 좋은 영감을 받았다. 아세안+3 국가들이 한가족이 돼야 하는데 이런 문제가 생긴 것은 유감”이라고 동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자 고노 외무상은 한국이 한·일 청구권협정을 다시 쓰려고 하고 있다면서 수출 통제는 이와 별개의 사안이라고 발언했다. 이에 강 장관은 고노 외무상의 주장은 사실이 아니라고 재반박했다.
미국은 이날 미·일, 한·미, 한·미·일 외교장관회담에 잇따라 참석하면서 중재 노력을 기울였다. 일본의 조치가 시행되는 오는 28일까지 미국의 중재 노력이 계속 이어질 전망이다.
방콕=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